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득
수입금
수입
추수
거두어 들이기
가을걷이
이득
d라이브러리
"
수확
"(으)로 총 503건 검색되었습니다.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더 이상 필요없어진다. 또한 이 장치를 단 비행로봇이 첩보전에 투입된다면 상당한
수확
을 거둘 게 분명하다.특히 생물체의 구성단위인 분자처럼 작동하는 기계인 나노(10-9) 크기 로봇의 현실화는 현재 인류가 앓고 있는 상당수 중병을 일거에 격퇴할 수 있는 길을 연다. 즉 이들을 대기중에 ... ...
① 복잡성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수익체감은 두번째 과자가 첫번째만큼 맛이 없다거나, 비료를 두 배 사용한다고 해서
수확
이 두 배가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수익체감은 작은 효과가 사라지기 쉽다는 뜻이 되므로 거꾸로되먹임(negative feedback)에 비유될 수 있다. 말하자면 거꾸로되먹임의 조절기능에 의해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 ...
③ 공룡멸종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잃어버린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있었다. 그런데 이런 일은 일어날 수 있을까? 아무리 고도의 기술이라 할지라도 초기
수확
률은 낮을 수밖에 없다. 한마리의 공룡을 탄생시키기 위해 수천개의 공룡 수정란이 필요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 많은 수정란을 키우기 위해서는 거대한 산업 공정 과정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잃어버린 ... ...
일본 규슈 화산지형 탐사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했고, 5회 홍도 식물탐사때는 참비비추, 각시고사리 등 15종의 미기록종을 발견하는
수확
을 거두었다. 12회의 대한해협 탐사는 4박5일의 전기간을 배안에서 보내기도 했는데, 이때의 탐사결과를 대한해협의 해양자원 조사도를 그리는데 반영됐다. 18회 탐사에서는 새로이 철새도래지로 형성된 ... ...
인류 최고의 기호품' 인가 '마약'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용도로 사용되는 벌리종(burley) 두가지가 있는데, 이들은 각각 건조 방법도 다르다.
수확
된 담배잎은 부위별로 골라 묶은 다음 불로 말리거나(황색종), 그늘에 걸어둠으로써 18%선까지 건조시킨 뒤 10월 담배인삼공사의 수매를 통해 본격적인 담배 제조공정으로 들어간다.일단 잎담배 원료공장에서는 ... ...
음악듣고 자라는 식물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비록 전류측정을 통해 식물이 좋아하는 음악을 가리는데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뜻밖의
수확
이 있었다. 손으로 잎을 건드리면 전류가 신경질적으로 튄다는 사실이었다. 처음에는 우리 몸의 정전기 영향이 아닌가 해서 유리막대기로 건드려 보았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한 놈을 건드리면 예민한 ... ...
5. 한국유전공학의 메카 생명공학연구소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성분 택솔의 대량생산법 등은 생명공학연구소의 ‘간판 스타’들이다. 감자는 지난해에
수확
한 것 중에 씨감자를 골라 저장해 뒀다가 잘게 잘라 심는다. 대량 감자농사를 짓는 경우 씨감자를 저장하는 것도 문제가 되고, 씨눈이 있는 조각을 내기도 힘들다. 그래서 개발한 것이 바로 유전공학을 ... ...
잔인한 노예 획득 전쟁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굴러드는 돌들을 치우기에 여념이 없고 그 동안 다른 코노머마 일개미들은 먹이를 죄다
수확
해 들인다. 실로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이 있는’ 격이다.다분히 경제적인 이유로 전쟁을 하는 개미들은 이념이나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만으로도 극렬한 전쟁을 벌이는 우리 인간과는 무척 다르다. 인간이 ... ...
사이버 거부열전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내려는 땀과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그리고 이제 막 그 땀이 결실을 맺어 성공과 부를
수확
하는 사람들이 등장하고 있다. 기회는 아직도 무궁무진하다. 누구에게나 열려있다. 인터넷에서의 성공은 이제까지의 기반을 닦은 기업들의 몫이 아니라 새로운 아이디어와 열정을 가진 사이버세대의 것이다 ... ...
'생명공학재난' 경고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담당하는 부위를 잘라 옥수수 유전자에 이식시키면 옥수수의 내성은 강해진다. 당연히
수확
량이 늘어날 것이다.그러나 지난 8월 유럽연합은 유전적으로 개량된 옥수수를 생산하지 말아야 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우선 사람이나 가축이 이 옥수수를 먹으면 병에 걸릴지 모른다. 동물의 내장에는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