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스페셜
"
지점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글라이더로 인공위성 쏘아 올리는 세상 온다
2015.02.16
올린 뒤 분리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사용된 실험용 글라이더는 실험 비행장 인근 목표
지점
에 정확히 착륙했다. 실험의 목적은 가장 적합한 글라이더 구조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상용화 단계에서는 형태가 다소 바뀔 것으로 보인다. 글라이더 중심부는 인공위성을 실은 로켓 추진체로 돼 있다.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마찬가지로 일어났다. 그러나 태양계 형성 초기에도 화성과 목성과 사이에 있는
지점
을 분기점으로 해서 그 너머에는 수증기가 얼음으로 응축할 정도로 충분히 온도가 낮았고 그 결과 이곳에 있던 소행성들은 물(얼음)을 충분히 머금게 됐다. 태양계 형성 초기에는 목성 같은 거대 행성의 궤도가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볼 수 없다. 게다가 안전한 착륙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 혜성의 활동이 이루어지 않는
지점
까지 10년이나 걸려 로제타호가 찾아간 것이다. 보통 혜성은 소행성대가 있는 3AU거리를 지나면서 가스와 먼지를 분출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혜성이 이곳에 도착하기 이전에 탐사선이 도착해야만 하는 ... ...
[기술이 바꾼 미래]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인터뷰 “사소한 불편을 참지 마라"
KOITA
l
2015.01.20
하나가 바로 소음이었다. 엔지니어들은 날개 없는 선풍기에서 공기 소용돌이가 생기는
지점
을 찾았다. 소음의 주 원인인 소용돌이를 줄이기 위해 통기구를 더 매끄럽게 만들었다. 한 가지 문제가 더 있었다.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에서 모기 날개 소리와 비슷한 1000Hz의 거슬리는 고음이 났던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상의 점들에서 ‘1-적중확률’의 제곱과 오경보확률의 제곱을 합한 값이 최소가 되는
지점
의 역치를 택하면 된다는 것. 바로 피타고라스정리를 이용해 구하는 방법이라는 말이다. 수신자조작특성곡선 형태에 따른 세 방법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들이다. 위 왼쪽은 대칭 형태의 곡선으로 세 ...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
KOITA
l
2015.01.14
실제 사고와 실종사고를 구분해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고도 교신 두절
지점
에서 100∼200㎞ 떨어진 곳에서 잔해를 발견했다. 이런 일은 실제로 자주 일어난다. 한 공군 관계자는 “과거에 지상으로 전투기가 추락해 현장수습을 해 봤는데 뻔히 레이더에 추락 위치가 나와 있는데도 ... ...
우주여행의 지름길, 웜홀(worm hole)
KISTI
l
2015.01.13
이때 웜홀의 입구와 출구의 양쪽 끝만 기존 공간에 연결되어 있고 통로가 되는 중간
지점
은 ‘다른’ 공간에 속해 있게 된다. 웜홀은 기존의 공간을 통과하지 않는 것이다. 만일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웜홀이 만들어진다고 해도 육안으로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없다는 얘기다. 또 웜홀이 제거되고 ... ...
[MATH] 피라미드에 얽힌 이집트의 수학이야기! 작도와 왕도
KISTI
l
2014.12.29
알아내기도 했다. 그들은 해가 뜨는 쪽과 지는 쪽을 각각 동쪽과 서쪽으로 정했고, 두
지점
을 직선으로 이은 후 그 직선의 수직선을 앞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작도해 북쪽과 남쪽을 정했다. 이로써 동, 서, 남, 북의 네 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게 정할 수 있었던 것이다. 고대 이집트인들이 기하학을 알지 ... ...
북한은 정말 2010년에 핵실험을 했을까
2014.12.04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당시에 국내에서 계측이 안 된 이유는 관측소가 폭발
지점
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정도 폭발 규모면 관측소가 반경 200km 안쪽에 위치해야 하고, 그마저도 파형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겨우 찾을 수 있는 정도다. 홍태경 연세대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아니라 바깥쪽 면을 밟을 때 더 미끄러운 걸까. 바나나 껍질의 입장에서 면이 어긋나는
지점
, 즉 미끄러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곳이 안쪽 면이기 때문이다. 즉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안쪽 면이 바닥에서 미끄러지면서 넘어지는 것이다. 바나나 껍질이 미니 보드인 셈이다. 바나나 껍질(epicarp)의 ... ...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