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스페셜
"
지점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힘세고 강력한 가을태풍
KISTI
l
2014.08.26
극지방 방향으로 올라온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것은 지난 30년간 태풍의 세력이 강력한
지점
은 적도 부근에서 약 160㎞ 멀어졌다는 뜻이다. NOAA의 제임스 코신 연구원은 "일본과 한국이 큰 위험에 놓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도 점차 아열대기후구로 바뀌어 나가고 있다. 기후가 변하면 ... ...
우리 가족의 재밌는 ‘과학캠핑’ 즐기기
KISTI
l
2014.07.02
태양을 향하도록 몸을 돌린 후 숫자 12와의 거리가 짧은 쪽의 각도를 보면 그 절반
지점
이 가리키는 방향이 남쪽이다. 즉석에서 해시계를 만들 수도 있다. 평평한 땅에 짤막한 나무 막대를 세우거나 꽂은 후 그림자의 끝부분에 표시를 한다. 10분 후 다시 표시를 한 후 두 점을 연결해서 직선을 그으면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갤락스드는 2주 정도가 지나자 이 패턴을 알아차리고 때가 되면 아침과 저녁에 각각 다른
지점
에 모여 밥을 기다렸다. 쥐에게 비슷한 실험을 하면 패턴을 알아차리는데 19일 정도가 걸린다고 한다. “잘 좀 해봐. 딴 데로 가는 수가 있어.” 청소놀래기(아래 작은 물고기)의 ‘1인 미용실’을 찾은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남방 대륙을 찾아서 쿡은 2차 탐험에서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을 지나 남극 대륙의 75마일
지점
까지 접근하였는데, 당대로서는 대단한 항해 기록으로 평가된다. 그때까지 남극해는 그 누구도 항해해 본 적이 없는 미지의 바다였다. 쿡은 이곳에서 처음 빙산을 보았고 이어서 남극까지 얼음으로 대륙이 ... ...
[채널A] 첨단 수중음파탐지기 투입…희생자 시신 찾아낼까
채널A
l
2014.05.07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일 여학생 1명의 시신이 발견된 곳은 사고
지점
에서 남동쪽으로 4.5km나 떨어진 곳이었습니다. 그보다 이틀 전 또 다른 여학생 시신이 발견된 곳과 방향은 반대, 거리는 2배입니다. 각종 유실물은 사고 해역에서 30km를 훨씬 넘는 곳까지 떠내려가고 있습니다.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야생 조류이면서(따라서 사람이 잡으려고 하면 얼른 도망간다) 과감하게 사람 손이 닿는
지점
에 집을 짓는 새가 떠올랐다. 바로 제비다. 지금이야 도심에서는 제비를 볼 수 없지만 필자가 어렸을 때만 해도 안양 같은 중소도시에는 제비가 꽤 있었다. 문득 35년 전 아련한 기억이 떠오른다. 제비가 ... ...
[MATH] 무한수열의 조합, 바둑
KISTI
l
2014.04.25
되어 있으며 이들이 겹치는 점이 361점이다. 흑돌과 백돌로 편을 나누어 361점 위의 적당한
지점
에 서로 번갈아 한 번씩 돌을 놓아 진을 치며 싸운 후, 차지한 점(집)이 많고 적음으로 승부를 가린다. 바둑은 그 수가 깊고 오묘하며 어디에 먼저 놓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싸움이 전개된다. 또한 선택할 수 ... ...
[만화] 야구의 꽃, 홈런이 탄생하기까지
KISTI
l
2014.04.17
맞추는 건 정말이지 어려운 일이야.” “뭐에요, 그럼 진동이 최소가 되는 그 달달한
지점
을 일일이 계산해야 한다는 말씀이세요? 0.2초 만에 판단해야 한다면서 그걸 언제 계산해요! 난 뭐, 하루를 줘도 못하겠지만.” “본능적으로 판단하고 쳐내야지. 그래서 예전에는 홈런 타자는 타고나야 한다는 ... ...
[채널A] ‘블랙박스 탐색전’ 누가 이길까? 나라의 자존심 건 수색
채널A
l
2014.04.10
해저 3840m에서 발견된 타이타닉 호. 실종된 여객기는 이보다 더 깊은, 남인도양 해저 4500m
지점
에 가라앉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찾을 수 있는 유력한 단서는 블랙박스 신호입니다. 하지만 바닷물에 굴절된 미약한 신호를 잡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미국은 심해 6000m에서 반경 3.2km 넓이를 한번에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1
착수했고 2010년 ‘네이처’ 마지막호에 그 결과를 발표할 수 있었다. 책의 본문은 이
지점
에서 끝나고 3쪽 분량의 추신에서 그 뒤 연구결과를 살짝 소개했다. 1981년 지도교수 몰래 정육점에서 사온 소 간에서 시작한 연구가 2000년 멸종한 인류의 게놈 해독으로 결실을 맺는 패보 박사의 스토리는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