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지점"(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KISTI l2013.09.10
- 우리나라가 국제해저기구(ISA)에서 확보한 독점 탐사 광구는 하와이 동남쪽 2,000km 지점에 있다. 클라리온-클리퍼톤 해역이라 불리는 우리 광구의 넓이는 7만 5000㎢로 남한 면적의 4분의 3 정도다. 이 바다 속 5,000m 아래에는 총 추정량 5억 1,000만 톤, 채광 가능한 추정량 약 3억 톤에 이르는 망간단괴가 ... ...
- 남자이야기가 뜨는 비밀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8.21
- 때문에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그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그 지점을 포착하여 담아낸 대중문화 콘텐츠가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 뒤집어서 말한다면 대중의 사랑을 받는 문화콘텐츠는 재미만을 좇는 콘텐츠가 아니라 그 시대 대중을 관통하는 유행의 '의미'를 찾아 심금을 ... ...
- [채널A] 백두산도 안심할 수 없다…만년설 감소-마그마 통로 발견채널A l2013.08.20
- 먼저, 더 크게 폭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천지 바로 아래 5km 지점에 마그마가 뚫고 나오기 쉬운 밀도가 낮은 통로가 만들어져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아냈습니다. [인터뷰 : 최승찬/독일 킬대 지구과학과 교수] 마그마 방에서 백두산 상층부로 바로 올라가는 밀도가 ... ...
- [채널A] 무선인터넷 중계까지…열기구 올라탄 ‘과학’채널A l2013.07.15
-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를 잡기 위해 2004년부터 6년간 6차례에 걸쳐 남극 상공 40㎞ 지점에 거대한 열기구를 띄웠습니다. ‘크림’ 프로젝트로 불리는 이 연구의 책임자는 한국인입니다. [녹취: 서은숙 / 미 메릴랜드대 교수] (우주에 열기구를 띄우면) 우주 입자가 대기권과 충돌해서 흡수되기 전에 ... ...
- 역사의 상흔과 영웅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7.09
-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와 전쟁 속에 놓인 인간들의 고뇌를 있는가가 전쟁영화의 중요한 지점이 아닐까? 우리는 전쟁영화 속의 비극적 영웅을 경외하지만, 보통사람들은 자신이 그 비극의 주인공이 되기를 바라지 않는다. 6‧25라는 민족사의 비극이 영화의 소재가 되지만 그 전쟁의 잔인함과 인간의 ...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동아사이언스 l2013.06.27
- 1983년 MIT의 데이비드 볼티모어 교수팀은 필라델피아 염색체의 전좌가 일어난 지점에서 유전자 융합이 일어나 Bcr/Abl 단백질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1970년대 들어 암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하나 둘 밝혀지기 시작했는데, 1978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 ...
- 인류 뇌팽창은 전두엽이 주도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6.17
- 로버트 마골스키 교수팀이 실제 실험을 해보자 맛봉오리(미뢰)가 있는 혀의 모든 지점에서 모든 미각이 감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다른 유명한 고정관념 예를 하나 더 들면, 어른의 뇌세포는 죽을 수는 있어도 새로 생기지는 않는다는 가설이다. 이 역시 20세기 초 한 실험결과에 ... ...
- 대기 중 CO₂ 농도 400ppm, 지구 온도에 빨간불! KISTI l2013.06.03
-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을 덜 할 이유는 없다는 이야기다. 이미 400ppm이라는 위험한 지점을 넘어서고 말았지만 아직 완전히 늦지는 않았다. 지구와 지구상 모든 생명체가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다’는 결말을 맞을 수 있도록 오늘부터 지구 살리기에 동참하는 건 어떨까. 반세기 세월을 하와이 화산 ... ...
- “해양이야말로 21세기를 이끌어 갈 동력원KIMST l2013.05.03
- 우리 해양방위력을 획기적으로 증강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Q. 신경 써야 하는 지점이 많다. 가장 중요한, 21세기를 이끌어 갈 경제성장 동력원이라는 측면에서는 어떤지. 넓지 않은 우리의 국토에서만 경제성장 동력원을 찾는 것은 한계에 다다를 것이다. 결국엔 바 다를 성장 동력으로 삼아 ...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것처럼 보였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1945년 히로시마 원폭 현장에서도 그라운드 제로 지점의 나무들은 전봇대처럼 서 있었다고 한다. ‘반물질’에서 저자가 도입부에 이 사건을 끌어들인 건 사실 퉁구스카 사건의 실체가 위에서처럼 명쾌하게 규명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위의 설명은 유력한 추정일 ... ...
이전3536373839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