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지점"(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반면 영문을 모르는 대조군은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다. 뒤영벌은 공을 특정 지점으로 굴리면 설탕물을 보상으로 받는 학습을 이해할 뿐 아니라 이를 응용해 좀 더 쉬운 길을 찾기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사이언스 제공 다음으로 뒤영벌의 학습능력과 사고의 유연성을 알아보는 실험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2017.02.21
- 영장목(目)이 나온 것처럼 속씨식물의 진화과정에서 식충식물목이 나온 게 아니라 여러 지점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했다. 즉 식충식물이 지닌 목이 다섯 가지나 된다(벼목, 석죽목, 괭이밥목, 진달래목, 꿀풀목). 지금까지 밝혀진 식충식물은 750여 종이다. 연구자들은 세팔로투스(괭이밥목)와 함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사진에서 빨간색)이 많다. - 사이언스 제공 ● 생쥐는 공간, 사람은 시공간 조절 이 지점에서 예리한 지성을 지닌 독자는 이런 의문이 들 것이다. ‘사람의 피부에는 털과 땀샘이 뒤섞여 분포하는 것 아닌가?’ 그렇다. 손발바닥이나 입술처럼 땀샘만 있는 피부는 있지만 생쥐의 등처럼 털만 있는 ... ...
- 일자리 부족하고 경쟁도 심해… 위기의 젊은 과학자들동아사이언스 l2016.10.30
- 지도로 만든 뒤, 이를 활용해 메어 오리엔탈의 세부 구조를 파악했다. 크레이터의 어느 지점에 질량이 쏠려 있는지 파악해 지하 구조까지 알아낸 것이다. 그 결과 충돌 시 생긴 가장 바깥쪽 원은 지름이 930㎞이며, 충돌 직후 파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생성된 동심원은 지름이 320~460㎞ 사이인 것으로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_명사편] 요즈마캠퍼스 김진아 총괄이사2016.09.09
- 이사님은 평소에 어떤 부분에서 가장 성취감을 느끼시나요? 사람마다 동기부여가 되는 지점은 다 다르잖아요. 자기가 사업을 해서 소득을 올릴 때 성취감을 올리는 사람이 있다면, 저는 다른 사람을 돕고 그 사람이 커 나가는 것을 볼 때 더 동기부여와 희열이 컸던 것 같아요. 그래서 제 개인의 ...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IBS l2016.09.01
- 연구진이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알츠하이머 질환 모델 쥐의 뇌에서 신경세포의 연결지점들을 활성화하면, 저장됐던 기억이 복원된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에 게재했다. 알츠하이머 질환의 기억 장애가 기억 저장의 문제가 아니라 저장된 기억을 끄집어내는 과정의 문제일 가능성을 제시한 ...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2016.08.29
- 몽블랑 만년필 모양의 길이 수mm인 관에 원자를 가둔 뒤 레이저로 가속시켜 어느 지점에서 음파의 속도를 넘게 조작하는데 성공했다. 즉 음향 블랙홀을 만든 것이다. 그리고 이때 사건의 지평선 부근에서 발생한 가상의 포논쌍이 헤어지면서 하나는 블랙홀 내부에서 하나는 밖에서 진짜 포논으로 ... ...
- 유전자 하나만 꺼도 무더위 못 느낀다2016.08.22
- ) 존재인가보다. 필자가 지난주 며칠 머문 해발 1100m 지점과 지금 글을 쓰고 있는 해발 100m 지점의 온도차라야 기껏 10도인데(100m 높아질 때마다 0.9도씩 낮아진다고 한다) 한 곳은 그렇게 쾌적할 수 없고 다른 한 곳은 냉방기 없이는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불쾌하니 말이다. 보통 실온(room temperature ... ...
- 새 ‘단백질 구조’ 설계… 신개념 약물전달물질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6.07.24
- 단백질 구조체 중 크기가 가장 크다”며 “사용 목적에 맞게 설계가 가능한 만큼, 목표 지점에 정확하게 약물을 전달해 주는 약물전달물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6.06.12
- 하지만 호킹 박사의 이 같은 주장은 그간의 양자역학과 일반상대성이론 사이의 어긋난 지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 것이어서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과학계에서는 이번 논문 역시 ‘양자역학적 일반상대성이론’에 이르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