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스페셜
"
지점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호킹은 태초보다 10분 전의 시간에 대해 묻는 것은 '지구의 북극에서 북쪽으로 1km 떨어진
지점
이 어디냐'고 묻는 것과 같다고 풀이했다. 사실 북극에서는 북쪽이라는 방향이 없다. 단지 우리가 지구 표면에 적도를 정하고 동서남북을 정의했고 있을 뿐, 실제로 방위개념이 없는 상황이라면 북극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맞이하는 별이 특정 반지름까지 수축하면 발생하는 공간과 시간이 끝나는
지점
이다. 호킹은 우주의 팽창에 이를 역으로 적용해 시공이 시작된 특이점, 즉 빅뱅(big band)이 존재함을 증명했다. 1966년 호킹은 이 결과를 담은 박사학위논문을 썼고 대학에서 에덤스상을 받았다. 1970년 호킹은 블랙홀로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왔다. 스티븐 호킹 박사의 최근 발언을 되짚어 봤다. “지구 온난화는 돌이킬 수 없는
지점
에 가까워지고 있다. 트럼프의 행동은 지구를 제 2의 금성으로 만들 수 있다” 작년 7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파리 기후 협약’ 철회를 두고 한 말이다. 이어 호킹 박사는 “‘제 2의 금성’은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있는 네모난 시계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외부에서 전기장이 주어지면 막대는 정해진
지점
으로 회전한다. 자유자재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나노미터 크기의 로봇팔인 셈이다. 플레이트에 로봇팔의 끝 부분과 도킹할 수 있는 짧은 DNA 가닥을 배치하면 로봇팔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파란선)이 백색광 방에서 쉰 그룹(G2. 검은선)에 비해 급격히 RG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7분
지점
). 위는 원 데이터이고 아래는 이를 분석한 그래프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참조. - 플로스 원 제공 ● 수면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측면 아냐 흥미롭게도 연구자들 역시 논문 말미에서 파란빛의 모순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지금 위치에서 동쪽으로 7.4초(여기서 초는 각도단위로 1초는 3600분의 1도) 북쪽으로 16.0도
지점
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바로 성운의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다. 즉 전갈자리 성운이 1437년 폭발한 신성의 잔해가 맞다는 말이다. 한편 연구자들은 DASCH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흥미로운 사진들을 추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제공 여기서 잠깐 사람의 손놀림 회로를 살펴보자. 뇌의 전두엽이 두정엽과 만나는
지점
인 중심전회는 1차 운동피질이라고 부르는데 우리 몸의 근육 움직임을 관장하는 부분이다. 운동피질의 각 부분이 담당하는 신체부위를 따라 사람을 그린 그림을 본 적이 있을 텐데 얼굴과 손이 넓은 영역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4.02
환경)에서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일정 구역의 땅을 100㎝ 깊이로 파고, 지표면 아래 5~20㎝
지점
을 가열하며 지구 온난화에 따라 땅 속 탄소의 배출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직접 실험했습니다. 그 결과, 토양의 온도가 4℃ 상승하면 땅 속 탄소 배출량은 34~3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힉스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고인류 화석에서 DNA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연구실을 만들었다. 이번 두개골이 발굴된
지점
과 한반도는 1000km가 조금 더 되는 거리다. 그리고 10만 년 전이면 한반도는 반도가 아니었다. 우리나라에서 데니소바인의 뼈가 나왔다는 소식이 들릴 날을 꿈꿔 본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않는 이유를 밝힌 논문이 실렸다. 독일 뮌헨공대 연구자들은 힘줄과 뼈가 만나는
지점
인 ‘힘줄뼈부착부위(enthesis)’의 자세한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형광현미경, 전자현미경, 마이크로CT(컴퓨터단층촬영) 등 첨단 장비를 총동원했다. 이들은 사람 대신 돼지의 발목 시료를 써서 아킬레스건과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