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뜻한다. 맨 아래 노란색 숫자는 1000t 단위다. - 네이처 제공 ● 이미 영향 주는 걸로 보여
학술
지 ‘사이언스’ 6월 3일자에는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실제 바다에서 존재하는 수준일 때 물고기의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지금까지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을 밝힌 논문이 여럿 나왔지만 ... ...
지진에 가장 위험한 나라 15개 꼽아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6.10.03
표본을 이용해 열대 우림 지역의 종이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더 다양하다는 연구결과를
학술
지 ‘사이언스’ 30일자에 발표했다. 인간이 자연을 연구한 역사는 길지만 아직 우리의 지식은 자연의 모든 것을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 인간이 아는 생물학적 종(種)의 수도 일부에 그친다. 생명체가 그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어떤 식단이 ‘win-win diet’가 될 수 있을까. 그리고 인류는 이를 실현할 수 있을까. 2014년
학술
지 ‘네이처’(11월 27일자)에는 이와 관련한 흥미로운 논문이 실렸다. 미국 미네소타대 생태·진화∙행동과 데이비드 틸먼 교수팀은 인구수 상위 100위 이내의 나라들의 50년에 걸친 식단 변화 데이터와 ... ...
과학계에도 금수저, 흙수저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25
성향이 강해 이런 상황이 벌어졌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학술
지 ‘사이언스’ 표지는 이파리를 잃은 앙상한 나무 한 그루가 장식했다. 지구의 건강수치라고 할 수 있는 생물다양성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연구결과다. 토비 페닝턴 영국 에딘버러 왕립식물원 연구원은 ... ...
코끼리와 기린, 이러다 멸종될 수도?
2016.09.19
수치다. 개체수가 줄어드는 속도는 코끼리보다 느리지만 개체수 자체는 훨씬 적다.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9월 8일자 온라인판에는 기린의 보호에 더 큰 관심을 쏟아야 하는 이유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즉 지금까지 한 종으로 알려진 기린이 알고 보니 네 종이라는 연구결과다. 따라서 네 ... ...
37억 년 전 지구엔 이미 생물이 번성했다!
2016.09.12
화산암과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두터인 지층인 와라우나 층군(Warrawoona Group)이 있다. 1980년
학술
지 ‘네이처’에는 무려 35억 년 전 형성된 와라우나 층군에서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을 발견했다는 논문이 실렸다. 지구에서 생물의 역사를 획기적으로 늘린 연구결과였음에도 회의적인 시각도 만만치 ... ...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9.12
뜻한다. 이 외 정부가 주관하거나 후원하는 과학기술 분야 수상실적이 있거나 국제
학술
대회에서 수상한 사람도 포함된다. 조합 내 이공계 인력이 설립동의자의 50% 이상이거나, 전체 조합원에서 이공계 인력이 5명 이상이어야 한다. 조합원 중 법인이 포함된 경우 이공계 인력이 2명 이상 근무하는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불구하고 지금까지 혈액형이 왜 증상의 경중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잘 모르는 상태였다.
학술
지 ‘열대의학 및 위생 미국저널’ 8월호에는 O형인 사람이 콜레라 증상이 심한 건 독소에 대한 세포반응이 민감하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O형의 경우 콜레라독소가 유도하는 세포내 cAMP의 ... ...
가장 효과 좋은 알츠하이머 치료 후보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9.04
치료제 중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는 신약후보 물질을 개발하고 그 연구결과를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신약후보 물질 ‘아두카누맙’은 아밀로이드 단백질 막 제거에 큰 효과를 나타냈다. 166명의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1년간 체중 1kg당 10mg의 아두카누맙을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 자세한 설명은 본문 참조. - 네이처 물리학 제공 ● 극저온에서 음향 블랙홀 만들어
학술
지 ‘네이처 물리학’ 8월 15일자 온라인판에는 유사 블랙홀에서 유사 호킹복사를 확인하는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이스라엘 테크니온공대 물리학과 제프 슈타인하우어 교수는 보세-아인슈타인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