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
2016.11.28
이때 생리적 변화도 동시에 측정된다. - 화학적 감각 제공 ● 냄새 정보 영향력 막강
학술
지 ‘화학적 감각’(후각과 미각에 관한 논문이 실린다) 9월 21일자 온라인판에는 며칠 전 필자의 경험과 일맥상통하는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프랑스 리용신경과학연구소와 캐나다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글 솜씨가 보통이 아닌데 솔직히 찰스 다윈보다도 한 수 위 같았다. 그런데 최근
학술
지 ‘네이처’(11월 10일자)에 실린, 신경퇴행성질환 연구의 현황을 다룬 특집을 훑어보다 문득 ‘이 책을 번역해야겠다’고 결심했다. 물론 출판사를 알아보겠지만 책을 내줄 곳이 없으면 임 박사처럼 POD 방식을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열대>는 일종의 문화기술지
학술
서인데도 한때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된 적이 있다.
학술
적 표현방식에 지나치게 보수적인 한국의 학계와 비교하면 부러운 풍경이 아닐 수 없다. 밥 딜런은 보기 드문 '음악의 주체'였다. 밥 딜런이 걸었던 길은 현대사의 축소판이었다. 딜런은 반전 평화의 깃발을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거리가 훨씬 멀다. - 커런트 바이올로지 제공 ● 보노보도 40대 되면 눈이 침침해져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1월 7일자에는 사람에게 노안이 오는 시기가 유인원 공통조상이후 별로 변하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일본 쿄토대 영장류연구소의 연구자들은 콩고민주공화국 왐바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잠깐 인터뷰를 했는데 왠지 박종화 교수도 관련돼 있을 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다.
학술
지 ‘게놈 연구’ 사이트에 가서 논문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저자 목록을 보니 역시 교신저자 두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 박 교수다. 그때 필자와 전화를 한 뒤 걸려서 아무르표범 시료를 계속 찾았던 걸까 라는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
2016.11.01
가설에 머물렀던 천문학 이론들이 속속 실험으로 확인되고 있다. 어느 날 받아본
학술
지에 실린 논문을 보다가 저자목록에서 민니 마오라는 이름을 만난다면 무척 반가울 것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세계 최고 출력 4PW(페타와트) 레이저 개발에 일조하다
IBS
l
2016.10.31
4PW 레이저 개발로 여러 국제
학술
회의에서 초청강연 의뢰를 받고 있다. 직접 국제
학술
회의에 참가했을 때도 연구단의 초강력 레이저에 대한 관심을 피부로 느낄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그는 “해외 유수의 연구자들이 먼저 관심을 갖고 질문하고, 앞으로의 레이저 개발에 대한 조언을 구하는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
2016.10.25
폭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빨간 삼각형이 인간이다. - 네이처 제공 ● 영장류는 잔인해
학술
지 ‘네이처’ 10월 13일자에는 동족을 죽이는 폭력성의 기원을 계통분류학의 방법을 써서 규명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이에 따르면 포유류 가운데 인간의 폭력성이 높은 건 사실이지만 그렇게 예외적인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우세하다. 1966년 당시 호주 콜로니얼제당주식회사의 연구원 할 해치와 로저 슬랙은
학술
지 ‘생화학 저널’에 C4 광합성의 존재를 명쾌히 규명한 논문을 발표했다. 두 사람은 50년이 지난 올해 4월 호주 캔버라에서 열린 C4 광합성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할 해치, 맨 오른쪽이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바이오부탄올이 두드러진다. 이 교수팀과 GS칼텍스 연구팀이 공동으로 연구해 지난 2012년
학술
지 ‘엠바이오’에 실은 논문은 발표된 지 4년이 채 안 된 현재 105회 인용됐을 정도로 획기적인 내용이다. 지난 9월 29일 GS칼텍스는 여수에 세계 최초로 2세대 바이오매스를 쓰는 바이오부탄올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