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설명은 본문을 참조하라. - 뉴런 제공 ● 잠의 양보다 질이 더 문제 신경과학 분야의
학술
지 ‘뉴런’ 4월 5일자에는 ‘수면과 인간 노화’라는 제목의 리뷰논문이 실렸다. 나이가 들수록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현상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내년에 오십이 되는 필자로서는 남의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안을 순환하는 종양세포(CTC)'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기술(FAST 디스크)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분석화학(Analytical Chemistry)에 표지논문으로 게재(관련기사 보기)한 데 이어 소변에서 나노 소포체(exosome)를 분리하고 검출하는 장치 '엑소디스크(Exodisc)'를 개발해 ACS 나노(ACS Nano)에 발표(관련기사 보기)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시아노박테리아는 늦어도 23억 년 전에는 지구에 모습을 드러냈다는 말이다. 2014년
학술
지 ‘네이처’에 실린 한 리뷰논문을 보면 산소발생 광합성이 시작된 시점이 여전히 불확실해 학자에 따라 멀게는 38억 년 전에서 가깝게는 23억5000만 년 전까지로 무려 15억 년 가까이 차이가 난다는 구절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4.02
배출한다고 합니다. 토마스 크로서 미국 예일대 기후에너지 연구소 박사는 지난해 12월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 온난화로 인한 땅 속 탄소 배출량 증가는 이미 시작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한 연구는 미국의 생태학자 케이틀린 힉스 프라이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글을 보면 이를 지지하는 최근 연구결과들을 몇 편 소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해
학술
지 ‘영국왕립철학회보 B’에 실린 논문은 캘리포니아의 한 소나무숲에서 산불다양성이 서식 조류의 다양성을 높인다는 분석결과를 담았다. 즉 이 지역에서 일어난 화재 97건을 유형별로 분류해 화재 이후 ... ...
[표지로 읽는 과학]DNA가 세포마다 다르게 발현되는 이유는 ‘종이접기’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3.26
제공
학술
지 ‘사이언스’ 24일자 표지에는 DNA 이중가닥(회색)을 단백질(빨간색)이 칭칭 동여매고 있는 그림이 등장했다. 이 그림은 독일 뮌헨공대 물리학과 및 고등연구소의 플로리안 프래토리우스(Florian Praetorius)와 헨드릭 디 에츠(Hendrik Dietz)의 연구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논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기여한다는 것으로 드러났다. - 사이언스 제공 ● 렙틴과 우리딘, 체온조절에 관여 한편
학술
지 ‘사이언스’ 3월 17일자에는 굶주림 신호 분자를 찾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미국 텍사스 사우스웨스턴대 필립 셰러 교수팀은 굶주릴 경우 지방세포가 우리딘(uridine)을 분비해 몸이 대응하도록 한다는 ... ...
죽음의 바다가 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동아사이언스
l
2017.03.19
있는 이 지역은 다이버들에겐 ‘천국’으로 꼽히는 해양생물의 보고다. 이번 주
학술
지 ‘네이처’에는 2016년 촬영된 그레이트배리어리프의 모습이 담겼다. 그런데 이제껏 봐왔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형형색색으로 빛나야 할 산호초가 성에가 낀 유리창 마냥 희미하게 색이 바랜 것이다.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밝혀졌는데 어금니가 크고 튼실해 데니소바인의 어금니를 연상케 했다. 이 결과는 2015년
학술
지 ‘미국신체인류학저널’에 실렸다. 사실 최근 수년 사이 중국에서는 놀라운 고인류학 발굴이 이어지고 있다. 2015년 ‘네이처’에는 중국 남부인 후난성(湖南省) 다오시안의 한 동굴에서 8만~12만 년 전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않았습니다.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표지로 읽는 과학’은 매주 저명한 과학
학술
지 ‘네이처’와 ‘사이언스’의 표지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무엇이 표지로 선정이 되는지에 따라 담당 기자들의 희비가 엇갈리곤 하지요. 시간 결정이란 말을 듣는 순간 들었던 ‘망했다’는 비단 기자만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