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핵 가진 인공생명체, 2년 내 세상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자연 효모의 게놈 구성과 완전히 동일하진 않음에 두 효모는 같은 기능을 한다.
학술
지 ‘네이처’는 웹사이트 뉴스를 통해 이를 ‘진화의 비밀을 풀어줄 열쇠’라고 표현했다. 인공효모와 자연효모의 게놈 구성 차이가 곧 효모가 현재와 같은 상태로 진화하게 한 핵심역할을 한 존재라는 것이다.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유익한 효과를 내는 살아있는 균, 프로바이오틱스의 원리부터 응용까지 다루는 이
학술
대회는 80개국에서 500여 명의 관련 연구자가 참석합니다. 올해 학회는 6월 19~22일에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립니다. 유럽은 프로바이오틱스 분야의 본거지인데, 학회를 통해 한국 기업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떨어지는 일은 거의 없다. - www.fairview.org 제공 ● 콜라겐 구조뿐 아니라 조성도 달라져
학술
지 ‘네이처 재료’ 최근호에는 힘줄과 뼈 사이에서 이런 일이 좀처럼 일어나지 않는 이유를 밝힌 논문이 실렸다. 독일 뮌헨공대 연구자들은 힘줄과 뼈가 만나는 지점인 ‘힘줄뼈부착부위(enthesis)’의 자세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아무튼 요즘 동물들이 생각보다 똑똑하다는 걸 보여주는 많은 연구결과들이 지명도 높은
학술
지에 실리고 대중매체도 즐겨 다루는 것 같다.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은 지난해 출간된 저서 ‘우리는 동물들이 얼마나 똑똑한지 알 수 있을 만큼 똑똑할까?’에서 동물 인지연구의 역사를 흥미로운 ... ...
[표지로 읽는 과학-사이언스] 석회 동굴? 지르코니아가 탄소피막과 만나는 장면
동아사이언스
l
2017.02.26
소개하기 위해서다. 고든 리서치 컨퍼런스는 1931년 시작된 유서 깊은
학술
대회로, 이
학술
대회와 관련해 연간 200회에 달하는 컨퍼런스가 열린다. 매년 특정 주제를 선정한 뒤, 이 분야와 관련된 전세계의 석학이 모여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무제한 토론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거의 소화된 상태였다(오른쪽). - 위키피디아 제공 ● 잎이 될 것이냐 포충낭이 될 것이냐
학술
지 ‘네이처 생태학&진화’ 2월 6일자에는 식충식물 연구가 새로운 국면에 들어갔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일본 국립기초생물학연구소를 비롯한 다국적 연구팀은 호주에 자생하는 식충식물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게놈 크기와 유전자 개수가 적은 합성생물체 ‘JCVI-syn3.0’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해 화제가 됐다. 53만 여 염기로 이뤄진 게놈에 유전자 473개로 이뤄진 이 합성생물체는 비록 게놈은 화학적으로 합성했지만 어디까지나 진짜 생명체다. 즉 스스로 유전자를 발현하고 ... ...
이 괴물이 인류의 조상이라니!
동아사이언스
l
2017.02.12
화석이 인류를 비롯한 많은 생물체들의 ‘가장 오래된 조상’일수도 있다는 연구결과를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 화석은 캄브리아기 바다 속 진흙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크기가 1㎜로 육안으로 보면 검은 색 작은 알갱이처럼 보이지만,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하면 생명의 역사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
2017.02.07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 결과 사람의 피부에는 털과 땀샘이 뒤섞여 있다. 필자는 2013년
학술
지 ‘셀’에 소개된 한 논문을 소재로 에세이를 쓴 적이 있다. 동아시아인들은 EDAR이라는 유전자의 특정 변이형을 지닌 비율이 높은데 이런 사람들은 땀샘의 밀도가 높아 땀을 많이 흘린다는 것이다. EDAR은 BMP ... ...
[네이처]스마트폰으로 상처 찍어 보내면, 인공지능 의사가 바로 처방을?
동아사이언스
l
2017.02.05
이어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상용화까지 이루어진 의료 인공지능이 네이처쯤 되는
학술
지의 표지 논문을 장식했다는데 조금 의아한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러나 자세한 내용을 보면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닥터 왓슨을 만나기 위해서는 병원에 가서 각종 검사를 받고 왓슨에 입력해야 한다.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