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있다. - 사이언스 중개의학 제공 ● 1992년 다이어트 약물 부작용 사례 나와 문득 얼마 전
학술
지 ‘사이언스 중개의학’에 실린 논문이 생각났다.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쓰이는 몇몇 약초가 간암을 일으킨다는 충격적인 내용이다(특히 대만과 중국 사람들이 피해가 컸다). 그런데 사실 이 약초 가운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결론을 내린 것이다. 그 결과 FDA는 혈액대체제 연구에 회의적인 입장을 강화했다. 그러나
학술
지에는 이 논문에 대한 반박 서신이 이어졌는데 한 마디로 엉터리라는 것이다. 즉 서로 유형이 다른 다섯 가지 헤모글로빈기반산소운반체에 대한 임상을 한데 묶어 분석했을 뿐 아니라 이 가운데 높은 ... ...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
과학동아
l
2017.10.30
피부색과 관련한 유전자 변이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10월 12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n843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잡힌 수산물을 먹어도 문제는 없을까. ● 대규모 유출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지만…
학술
지 ‘해양과학연간리뷰’ 2017년 호에는 후쿠시마 원전 폭발 이후 지난 5년 동안 바다로 유출된 방사성핵종(radionuclides)의 현황을 정리한 리뷰 논문이 실렸다. 5년이 지난 시점에서 (논문은 2016년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따라 플라시보 효과가 나타나기도 하고 노세보 효과가 나타나기도 하는 게 아닐까.
학술
지 ‘사이언스’ 10월 6일자에는 약물의 가격에 따른 노세보 효과에 관여하는 뇌의 회로를 밝힌 연구결과가 실렸다. 독일 함부르크-에펜도르프의대 연구자들은 피험자들에게 아토피 환자의 피부 가려움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첫 시험관아기가 태어난 게 1978년인 걸 생각하면 더 아쉽다. 에드워즈는 2013년 타계했다.)
학술
지 ‘네이처’ 4월 20일자에는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 MIT 바이스 명예교수가 쓴 드레버의 부고가 실렸다. 이를 바탕으로 그의 삶과 업적을 살펴본다. 1931년 영국 비숍턴에서 태어난 드레버는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2004년 해양판이 섭입되는 과정에서 맨틀이 상승해 백두산이 생성됐다는 BMW 모델을
학술
지 ‘지구와 행성 물리학’에 발표한 바 있다. 연구팀은 물렁물렁한 맨틀에서 지진파가 느려지는 성질을 이용한 지진파토모그래피로 지구 내부 구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상부맨틀 중 연약권 맨틀이 위치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
2017.09.26
두 배 정도 더 많이 눌렀다. - 사이언스 제공 ● 돌 갓 지난 아기도 일반화 능력 있어
학술
지 ‘사이언스’ 9월 22일자에는 돌이 갓 지난 아기도 어른이 노력하는 모습에서 노력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천한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우리는 아주 어릴 때부터 끈기라는 삶의 태도를 보고배울 수 있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적합한, 즉 SFTS바이러스를 대표하는 균주를 제안한 중국 연구자들의 논문이 한
학술
지에 발표되기는 했다. 한중일 세 나라의 보건 담당자들이 SFTS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하지 않을까. 한편 SFTS가 진드기 매개 질병의 전부가 아니다. 진드기 유충에 물려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우주의 유령으로 불리는 중성미자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8월 3일자에 소개됐으며, 유종희 KAIST 교수를 비롯한 4개국 19개 기관 80여명의 과학자들이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원자핵이 붕괴하거나, 핵끼리 융합할 때 중성미자가 방출된다. 우주 형성 ... ...
이전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