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술"(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2016.05.16
- 말이다. - 톡시콘 제공 ● 표정에 담긴 미묘한 감정 파악하는 능력 떨어져 독성학분야 학술지인 ‘톡시콘(Toxicon)’ 최근호에는 보톡스에 관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의 가능성을 제기한 논문이 실렸다. 이탈리아 고등연구국제대학(SISSA) 연구자들은 보톡스 주사를 맞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2016.05.10
- 모순 어법을 쓰고 있다(이상은 오규원 시인의 ‘현대시작법’에 나오는 내용이다). 연초 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한 사설을 읽다가 시에서나 나오는 줄 알았던 모순 어법을 쓴 표현을 보고 고개를 갸웃한 기억이 난다. 바로 ‘디지털 직관(digital intuition)’이라는 말로 디지털, 즉 컴퓨터 프로그램이 ...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2016.05.02
- MVDHP)/S. Suhr 제공 ● 130여 명 유골 발굴 여행을 마치고 집에 와보니 구독하고 있는 주간 학술지 몇 권이 기다리고 있다. 다음날 아침 커피를 홀짝이며 느긋하게 페이지를 넘기다 한 사진을 보고 깜짝 놀랐다. ‘사이언스’ 3월 25일자(한 달 쯤 늦게 배달된다)에 실린 기사의 타이틀 이미지로 돌화살촉이 ...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2016.04.25
- 개인 세포는 존재하지 않아 이 과정이 정교한 통제아래 일어남을 시사한다. 지난 2010년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간에 존재하는 다핵세포, 즉 핵이 두 개 이상인 세포에 대한 연구는 젖샘세포의 특이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영감을 준다. 즉 다핵세포는 단순히 게놈의 양이 많은 게 아니라 게놈의 ... ...
- 호기심의 두 얼굴: 호기심은 인간을 이롭게 만들까, 아니면 해롭게 만들까? 2016.04.19
- 문구다. Pandora - Nicolas Régnier 제공 ● 불확실성 보다는 손해 보더라도 확실한 쪽 택해 학술지 ‘심리과학’ 최신호에는 쓸데없는 호기심이 이런 이야기를 통해 경계해야 할 정도로 사람들의 참기 어려운 심리인지 확인한 논문이 실렸다. 즉 알아야 모르는 것 보다 나을 게 없는 상황임에도 사람들은 ...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2016.04.11
- 약 28만 년 전 갈라졌다. - 미국인간유전학저널 제공 ● 혼혈 남아 유산됐을 가능성 학술지 ‘미국인간유전학저널’ 4월 7일자에는 위의 필자 가설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일지도 모르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현생인류의 Y염색체에는 네안데르탈인의 흔적이 없을 가능성이 높고 그 원인은 ... ...
- 사회가 정직해야 개인도 정직하다2016.04.04
- 몇몇 나라의 부패 정도는 상상을 초월한다. ● 나라별로 자기기만 정도 차이 있어 학술지 ‘네이처’ 3월 24일자에는 사회를 조금이라도 낫게 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탈세와 정치부정, 부패 같은 사회의 규범을 어기는 풍조가 만연한 사회일수록 개인의 ...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IBS l2016.04.04
- 관한 연구로 한국뇌신경과학회에서 1세대 뇌 과학자 장진 교수를 기념하는 제1회 ‘장진 학술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아직도 갈 길이 멀다고 말하는 정 부연구단장이 생각하는 뇌 분야 연구의 미래는 어떨까. 정 부연구단장은 고위 뇌 기능 연구로 정신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 가능성을 ...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2016.03.28
- 이렇게 뒤늦게 학자들과 교류하며 수학과 천문학을 열심히 공부한 소머빌은 1826년 46세에 학술지 ‘영국왕립학회보’에 ‘태양 스펙트럼의 보라색 빛의 자기적 특성’이라는 제목으로 첫 논문을 발표했다. 과학책도 몇 권 썼는데, ‘물리과학의 연관성에 대해’(1834), ‘물리 지리학’(1848), ‘분자 ... ...
- ‘태양의 후예’ 시청주의보? “일리 있지 말입니다”2016.03.27
- 드라마를 본 후 10대 임신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아졌다. 연구결과는 2010년 학술지 ‘휴먼 커뮤니케이션 연구(Human Communication Research)’에 실렸다. 모예 교수는 “많은 여성들이 스토리텔링 기반의 드라마에 자신을 몰입하는 효과가 뛰어났다”면서도 “남성의 경우 드라마와 같은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