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참조). -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제공 ● 음식 사전 가공만 해도 씹는 일 한결 편해 져
학술
지 ‘네이처’ 3월 9일자(온라인판)에는 또 다른 측면에서 도구사용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논문이 실렸다. 하버드대 인간진화생물학과(즉 랭엄 교수의 동료다) 다니엘 리버만 교수는 랭엄 교수의 ... ...
리포솜 화장품, 깊숙이는 커녕 각질도 못 뚫는다
2016.03.15
을 통과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 ‘Soft Matter’ 제공 ● 5㎛ 너머서는 흔적 안 보여
학술
지 ‘플로스원’ 1월 11일자에는 젊은 시절 5년 반을 화장품 회사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리포솜의 피부 침투 메커니즘을 철석같이 믿고 있었던 필자에게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리포솜이 피부 ... ...
네안데르탈인에게도 현생인류 피가 흘러들어갔다
2016.03.07
현생인류의 피가 섞여들 수 있기 때문이다(데니소바인도 마찬가지다).
학술
지 2월 25일자에는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인 알타이 지역에 살던 네안데르탈인의 게놈에서 현생인류의 유전자 흔적이 발견됐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진화유전학과 세르지 카스텔라노 ... ...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치료물질 개발을 위해 뛴다
IBS
l
2016.03.02
있는 젊은 과학자를 선발하는 프로그램이고, 티메 케미스트리 저널 어워드는 국제적인
학술
전문 출판사인 티메(Thieme)에서 화학 분야의 젊고 유능한 연구자에게 주는 상이다. 1년 만에 놀라운 연구 성과를 내며 젊고 유능한 과학자들을 위한 상을 휩쓴 비결은 무엇일까. 이 연구위원은 그간 어려운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발표를 했다. 인간배아를 대상으로 게놈편집을 허용한다는 내용이었다. 게놈편집은
학술
지 ‘사이언스’의 2015년 10대 뉴스에서 당당히 1위로 뽑힌 혁신적인 생명공학기술로 소위 ‘유전자 가위’로 불리기도 한다. 게놈편집이 이렇게 높이 평가되는 이유는 게놈에 ‘흔적’을 남기지 않기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
IBS
l
2016.02.01
밝혀내 RNA생성의 비밀에 다가선 것이다. 이 연구는 지난 1월 1일 생명과학분야 세계 유명
학술
지인 에 실려 새해 벽두부터 국내외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김빛내리 단장과 우재성 IBS 연구위원(서울대 연구교수)는 ‘드로셔-DGCR8’ 단백질 복합체가 1개의 드로셔와 2개의 DGCR8 분자로 구성돼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
2016.01.25
감염이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물론 환자의 피를 수혈하면 감염된다). 그런데 2011년
학술
지 ‘신종감염질환’에 모기 매개 질환의 사람 간 감염의 첫 사례를 보고한 논문이 실렸다. 바로 지카바이러스다. 2008년 의학곤충학자 브라이언 포이(오른쪽)은 말라리아 연구를 위해 세네갈을 찾았다가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
2016.01.11
‘인기논문 베스트 100’에서 암에 대한 기존 과학상식에 도전한 논문이 4위에 선정됐다.
학술
지 ‘사이언스’ 2015년 1월 2일자에 발표된 논문으로 암 발생의 상당 부분은 불운의 결과라는 내용이다. 이는 암이 흡연이나 운동부족 같은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질병이라는 상식에 반하는 결과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
2016.01.08
만들 수 있다. 스티렌을 줄줄이 연결하면 플라스틱 폴리스티렌이 된다. 1968년 저명한
학술
지인 ‘미국화학회저널(JACS)’에 헤크 단독저자의 논문 일곱 편이 줄줄이 실리면서 화학계가 깜짝 놀랐고(‘도대체 헤크가 누구야?’) 덕분에 1971년 헤크는 델라웨어대로 자리를 옮겼다. 헤크 교수는 이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1990년대 후반 데이비슨은 성게게놈서열분석컨소시엄을 만드는데 구심점 역할을 했고
학술
지 ‘사이언스’ 2006년 11월 10일자에 성게게놈해독 결과가 25쪽에 걸쳐 특집으로 실리며 그의 연구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사이언스’ 10월 30일자에 부고를 쓴 스미스소니언연구소의 고생물학자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