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질환의 배후에는 조절T세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힘을 얻고 있다.
학술
지 ‘면역’ 6월 16일자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조절T세포가 어떤 요인으로 조력T세포로 성격이 바뀌면서 인터페론감마 같은 사이토카인을 대량 분비하면 결국 과도한 염증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 ...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게놈 정보만 분석해도 그 사람의 발병 가능성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는 말이다.
학술
지 ‘네이처’ 2014년 4월 3일자는 정신분열증의 최신 연구결과를 특집으로 소개했다. 특집 표지를 그린 수 모간은 20년째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는데 현재 많이 나았다고 한다. 화가는 이 그림에서 뇌에서 ... ...
손목에 차고만 있어도 전기가 생긴다?
KISTI
l
2015.06.09
10대 기술 중 1위에 그랑프리상을 수여하고 있다. 지난해 3월 에너지 환경 분야 국제
학술
지인 ‘에너지 및 환경과학(Energy & Exvironmental Science)’ 온라인판에 속보로 실린 조 교수 연구팀의 기술은 사람의 체온에 의해 생긴 온도차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열전소자를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주간
학술
지 ‘네이처’와 ‘사이언스’는 각각 목요일과 금요일 나온다. 필자는 습관적으로 목요일과 금요일 오전에는 사이트에 들어가 목록을 훑어본다. 5월 29일자 ‘사이언스’ 목록을 보다 기억에 대한 논문이 눈에 띠었다. 역시 습관적으로 저자 이름을 훑어보다가 마지막 저자(교신저자일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loperamide), 로피나비르(lopinavir) 등 4종이 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다는 연구결과를 지난해
학술
지 ‘항미생제 화학치료’에 발표했다. 클로로퀸은 항말라리아약이고 클로프로마진은 항정신병약이다. 로페라미드는 설사를 멈추게 하는 약이고 로피나비르는 에이즈 치료제다. ‘연구 한 번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과학(testable science)’의 영역으로 들어가고 있다는 전망을 갖게 한다”고 평가했다.
학술
지 ‘사이언스’는 매년 마지막호에 ‘올해의 10대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필자 생각에 올해 들어 발표된 연구들 가운데 이번 로키아케오타 발견이 1위 후보가 아닌가 한다. 그리고 남은 7개월 동안에도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한자리에 모이게 했다. 그해 가을에 열린 '고 이휘소 박사 추모
학술
대회'였다. 당시
학술
대회의 주제는 '패리티(반전) 비보존'이었다. 어려운 말이지만, 패리티는 공간에 대한 대칭성이다. 예를 들어 공간을 거울에 놓고 반전시켰을 때 물리 법칙이 그대로 유지되면 패리티대칭(P 대칭)이다. 또 다른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모네, 당신은최근작 ‘노적가리’로 저를 너무도 놀라게 하는군요. 저는 당신의 그림들을 프리즘으로 해서 벌판을 바라보고 있는 저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 진화의 부수적인 효과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4월 17일자
학술
지 ‘플로스 생물학’에 실렸다.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농약을 갈구했다. 천연농약인 제충국제(pyrethrum)가 있었지만 양도 적고 너무 비쌌다.
학술
지 ‘사이언스’ 3월 13일자에는 과학사가 프레더릭 로웨 데이비스의 책 ‘Banned’에 대한 서평이 실렸다. 왼쪽은 1963년 6월 4일 미국 상원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하고 있는 레이첼 카슨의 모습이다. - 사이언스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 남성 생식계에 특히 심각한 영향 미국 예일대 화학자들이 쓴 해설은 지난 1월
학술
지 ‘가임과 불임’에 실린 프랑스 연구자들의 논문이 계기가 됐다. 즉 지난 수십 년 동안 문제가 되어온 비스페놀A를 대신해서 쓰이고 있는 비스페놀S와 비스페놀F 역시 그렇게 안전한 화합물은 아니라는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