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4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한다”고 주장했다. 독일에 기반한 저명한 과학저널 출판사인 스프링거는 2012년 공개
학술
지 ‘Flavour(풍미)’를 창간했다. 이번 달에도 스펜스 교수의 ‘귀로 먹기’ 등 흥미로운 주제를 다룬 논문이 올라와있다. 이런 움직임이 삭막하기만 한 과학에 풍미를 더하는 것 같아 더 반갑게 느껴진다. ...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월 9일자에는 만성피로증후군 논문 논란이 연상되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이 논문은 2012년
학술
지 ‘네이처’에 발표되면서 의학계와 생명과학계의 주목을 한 몸에 받은 호르몬 이리신의 실체가 모호하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운동호르몬’ 또는 ‘다이어트호르몬’으로 불리는 이리신은 운동을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사용량에 제한이 없다는 말이다. ● 선천적으로 장이 약할수록 영향 많이 받아
학술
지 ‘네이처’ 3월 5일자에는 식품첨가물로 쓰이는 유화제가 장염이나 대사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실렸다. 미국 조지아주립대 생의과학연구소 앤드류 지워츠 교수팀은 식품의 유화제로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가 결정타가 돼 인생을 망친 사람이다. 같은 연구소 오보카타 하루코 박사팀이 2014년 1월
학술
지 ‘네이처’에 낸 줄기세포 논문 두 편이 조작의혹을 받으면서 후견인이자 공동저자이자기도 한 사사이 박사까지 도마에 올랐다. 일단 먹잇감을 발견한 언론들은 두 사람이 같이 출장을 간 영수증 등을 ... ...
고효율 자가발전 연료전지 성능 UP!
2015.02.27
수소 연료전지는 친환경 수소를 이용해 즉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있어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발전 효율이 낮은 점 ... 우수한 연료전지를 개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성과는 화학분야 국제
학술
지인 ‘앙케반테 케미’ 지난달 28일자에 게재됐다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결정을 이끌어내는 ‘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는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현상일까.
학술
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최근호에는 우리의 가장 가까운 친척인 보노보와 침팬지를 대상으로 프레이밍 효과를 알아본 연구결과가 실렸다. 현대판 조삼모사 실험인 셈이다. istockphoto 제공 미국 듀크대와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말이 일종의 상투어가 됐다”고 덧붙였다. ● 대장암이 소장암보다 흔한 이유
학술
지 ‘사이언스’ 2월 13일자 서신란은 흔치 않은 구성으로 편집됐다. 보통은 이전에 실린 논문 서너 편에 대한 독자 반응(저자의 답신이 있는 경우도 있다)을 싣는데 이번에는 1월 2일자에 실린 한 논문에 대한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측정해 그 값이 지구의 물분자와 꽤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ESA 제공
학술
지 ‘사이언스’ 1월 23자에는 혜성탐사선 로제타의 연구결과들을 담은 특집이 실렸다. 10년의 여정 끝에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에 접근해 탐사로봇 필레까지 상륙시킨 로제타는 지금도 혜성 주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포식자를 보호하거나 복원하는 정책의 낭만성 뒤에는 상당한 사회적 비용이 따른다.
학술
지 ‘사이언스’ 2014년 12월 19일자에는 유럽에서 수십 년 동안 추진해온 맹수류 보호 정책의 결과를 평가한 논문이 실렸다. 즉 대형 맹수류인 큰곰과 스라소니, 회색늑대, 울버린(대형 족제비류)의 개체수가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그래서 요즘 얘기가 되는 게 바로 소셜로봇의 윤리학 문제다. 지난해 10월 10일자
학술
지 ‘사이언스’는 ‘로봇의 사회생활’이라는 제목의 특집을 실었다. 표지부터가 범상치 않은데 일본 ATR의 이시구로 히로시 박사가 자신의 도플갱어인 ‘제미노이드(Geminoid) HI’와 함께 포즈를 취한 모습이다. ... ...
이전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