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구마모토 지진으로 아소산이 폭발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많은 활화산이 있지요. 특히 큐슈의 대표적인 활화산인 아소산은 지진이 발생한 지역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답니다.그런데 이번 지진 때문에 갈라진 후타가와 단층대의 동쪽 끝이 아소산의 칼데라까지 이어졌어요. 이 때문에 아소산이 영향을 받지 않을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았어요. 실제로 4월 1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런데 이번에 찾아간 연구실은 좀 더 특별한 것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었어요. 바로, ‘즐거움’을 연구하는 사람들이었답니다. 즐거운 사람들이 모인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에서 경험한 ‘즐거운 과학’! 지금부터 함께 만나 볼까요?연구실이야, 놀이터야?따뜻한 봄날, 기자단 친구들은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발명왕 ‘ 머라도 다맹그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벗겨지고 말았다. 그순간! 썰렁홈즈는 무릎을 탁 치며 말했다.“설계도를 훔쳐간 범인은 바로 봄바람이에요!”그랬다. 강한 봄바람에 모든 방안이 흐트러졌고, 설계도도 창문 밖으로 날아가 버렸던 것이다.“흑! 봄바람 미워잉~. 내 설계도 돌려줘잉~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떠오르면 며칠이고 함께 푸는 것이다.특이한 장소에서 연구해 유명해진 수학자도 있다. 바로 독일 출신의 수학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다. 그는 베트남 전쟁 당시 전쟁에 반대하는 의미로, 미국 폭격기가 무차별 공격을 퍼붓는 하노이 근교 숲에서 수학 세미나를 열었다. 폭탄이 터지고 숲이 불타도 ... ...
- [재미] 제34화 가을은 운동회지~!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점수 기록을 맡은 정수는 점수를 집계하던 중 깜빡 잠이 들어버렸다.“정수야, 지금 바로 축구 점수 합계와 농구 점수 합계의 차이 좀 알려줘.”“으응? 엇! 나도 모르게 잠들어 버렸네?!”점수를 집계하던 종이는 정수가 잠든 사이 사라져 버렸고, 기억나는 건 (a-d+b-c)=2라는 식뿐이다. 정수는 축구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주향이동 단층에도 힘이 전달된다. 특히 이 단층들의 연결부위에 응력이 많이 작용하고, 바로 여기서 여진이 발생한다. 이번에도 규모 4.5의 여진이 본진 주변에서 일어났다. 김영석 부경대 환경지질학과 교수는 “지진이 단층의 시작과 중간, 끝 중 어느 부위에서 시작됐는지, 응력이 어디까지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사용한 수만 장의 엑스선 필름들, 그리고 시체농장에 들어오는 수많은 기증자들이 바로 데이터다.한국엔 한 해 평균 120건 이상 백골 시체가 발견된 다. 이들이 모두 유가족에게 성공적으로 돌아가려면 한국만의 법의인류학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머지않은 미래에 한국에도 시체농장이 들어선다는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낮 동안 온몸에 쌓였던 피로와 스트레스가 사라지고, 몸과 마음이 재충전되는 시간도 바로 이때다.전문가들은 날마다 쌓인 피로를 풀고, 일이나 공부에 집중하기 위해 하루에 7~8시간 정도는 잠을 자야 한다고 강조한다. 잠을 잘 만큼 자면서 어떻게 벼락치기를 할 수 있을까? 차라리 벼락치기를 ... ...
- [Tech & Fun] 아이를 잃은 엄마의 차가운 복수 '고백'의 '우유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무런 의심 없이 우유를 마셨다고 하더라도, 유코의 복수는 성공할 수 없습니다. 바로 우유의 pH 때문입니다. HIV는 온도보다 산성도에 더 민감한 바이러스입니다. 노르웨이 대중보건연구소 연구팀의 실험 결과, HIV가 활동하는 데 가장 적합한 pH는 7.1로 pH가 6.8 이하가 되거나 7.5 이상이 되면 활동성을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리튬이온전지의 성능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불순물을 화학작용으로 걸러낸다. 비결은 바로 미세한 구멍. 나노미터(nm, 1nm는 100만분의 1mm) 크기의 구멍을 지닌 기능성 나노셀룰로오스에 마이크로미터(μm, 1μm는 1000분의 1mm) 단위의 구멍을 가진 다공성 고분자 섬유를 붙여 만들었다.나노소재팀에서는 ... ...
이전3173183193203213223233243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