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 인터뷰] 10년째 어과동의 매력에 푹~! 이봉주 선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못·친·소 지지자 중 10년째 를 보신 분이 있다고 해요. 바로 마라토너 이봉주 선수 가족이랍니다. 이봉주 선수의 아들인 우석이와 승진이는 10년째 어과동의 매력에빠져 있다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인지 함께 들어 봐요!올해 10년째 어과동을 보고 계시네요. 대단해요~!2007년에 제가 ... ...
- 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핵심 부품이 하나 더 들어 있어요. 바로 머리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 앞을 똑바로 보고 있을 때를 0°라고 가정해 봐요. 만약 머리를 들거나 고개를 돌리면 해당 방향으로 각도가 바뀌겠죠? 센서는 이 각도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맞게 화면에 나오는 영상을 바꾸어요. 그래서 고개를 움직일 때마다 ... ...
- [지식] 앨리스의 거울나라 속 거울분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방향이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손과 발이다. 왼손과 오른손은 똑같이 생겼지만 방향이 정반대라서 두 손을 포개면 겹쳐지지 않는다. 왼쪽 신발과 오른쪽 신발도 모양은 똑같지만 방향이 정반대이므로 서로 포개면 겹쳐지지 않는다.3차원 ... ...
- Part 2. 마녀와 악마의 곡선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원의 둘레를 따라 움직일 때 나오는 교점 P를 모두 연결한다. 이렇게 구한 점 P의 자취가 바로 아녜시의 곡선! 악마의 곡선홀가분한 마음으로 집을 살펴보던 천사의 앞을 또 한 번 악마가 가로막았어요. 방금 전 순식간에 사라졌던 악마, 벨페고르였어요. 벨페고르는 실로 연결한 두 막대를 양 손에 ... ...
-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2쌍이 있고, 네 번째 달에는 3쌍, 같은 규칙으로 다섯 번째 달에는 5쌍이 되지요.”“바로 전달에 태어난 토끼는 새끼를 낳을 수 없지만, 그 전달에 태어난 토끼들은 새끼를 낳을 수 있어 이런 규칙이 성립하게 되는 거군요!”“맞아요. 더 놀라운 사실을 말해드리죠.”“수열에서 이웃한 두 항의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연구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의 신체기관 중 가장 신비로운 부분을 꼽으라면, 바로 뇌입니다. 한 사람의 모든 걸 결정하는 뇌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너무나 많아서 연구자들에겐 더 매력적이죠. 뇌는 하나의 기관이지만, 오만 가지의 일을 다 합니다. 보고, 듣고, 말하고, 움직이는 것도 다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장치를 고안하며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다. 전세계가 이 기술에 집중하고 있는 이유는 바로 월등한 광합성 속도다. 생물로는 따라 잡을 수 없을 만큼 이산화탄소 전환 속도가 빠르다. 또 인공광합성은 탄소가 1개 또는 2개인 탄소화합물을 생성해 활용범위가 넓다. 일산화탄소, 에탄올, 개미산과 같이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않게 연구에 매진하는 법의인류학자들의 열의가 경이로울 정도로 조화를 이루는 곳이 바로 시체농장이다.최근 우리나라 전문가들과 법의인류학센터의 교류가 늘고 시체농장에 대한 일반인들도 많은 관심을 갖는 걸 보며, 머지않아 우리나라에서도 이 발전적인 조화를 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 ...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공항에 가보면 비행기 한 대가 뜨고 한참 있다 또한 대가 뜨잖아요. 자동차처럼 바로 바로 움직이지 않죠. 비행기가 이륙할 때 만들어내는 와류 때문입니다. 비행기가 빠르게 지나가면 공기 입자들이 회전운동을 하면서 이동방향과 반대로 소용돌이치는 흐름이 발생하는데, 이걸 와류라고 합니다.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비결은 ‘표준화초창기부터 지금까지 모든 블록 장난감이 갖고 있는 특징이 있어요. 바로 통일된 모양과 크기로 ‘표준화’ 돼 있다는 거예요.표준화란 어떤 일에 기준을 만들고 그 기준을 따르는 것을 뜻해요. 예를 들어 우리가 1cm의 길이를 정해 놓고 그 기준을 따르듯이 말이에요. 블록에도 이런 ... ...
이전3203213223233243253263273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