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인터뷰 내용은 여기까지다. 물론 GMO가 과학적인 안전성만을 확보한다고 해서 바로 시장에 나와 기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놀부의 곳간에 쌀이 많아지는 것이 흥부의 배부름을 보장할 수 없듯이 말이다. GMO와 관련한 논쟁은 사회, 국제 관계, 다국적기업의 역할 등 다양한 요인과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물론 자신도 서식처와 영양분을 제공받는 대가이긴 하지만. 이런 형태로 나타난 것이 바로 공생이었다.재레드 다이아몬드가 책 ‘총, 균, 쇠’에서 말했듯이, 항생제가 개발되기 전까지 세균(미생물의 대부분이 세균이다)은 공생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었다. 흑사병을 일으키는 ‘에르시니아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난다는 점이다. 열전도도가 높은 소재를 이용해 열을 방출해 줘야 하는데, 유망한 후보가 바로 그래핀이다. 그래핀을 방열소재로 이용하려면 그래핀 자체의 포논뿐만 아니라 그래핀과 전극 접합소재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포논도 잘 알아야 한다.이런 연구를 응용하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할 수도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전체 중에 상대와 같은 유전자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아니라, 사회적 행동을 일으키는 바로 그 유전자를 내가 상대방과 공유할 확률이다.둘째, 근연도는 행위자와 상대방이 공통조상으로 부터 동일한 대립유전자를 각각 물려받은 덕분에(이를 ‘계승 동일(identical by descent)’이라고 한다) 공유되는 ... ...
-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 단점을 반대로 이용해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아이디어를 낸 사람이 있어요. 바로 네덜란드의 17세 청년인 보이얀 슬랫이 그 주인공이랍니다.보이얀 슬랫은 바닷물이 흐르는 규칙을 찾으면 쓰레기가 어디로 이동할지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그리고 쓰레기가 이동하는 방향 ... ...
- 미션 3. 수거한 쓰레기를 처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스티로폼 충전재에 주목했어요. 택배를 보낼 때 꼭 필요하지만 포장을 뜯고 난 뒤 바로 버려진다는 사실이 안타까웠거든요. 그래서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는 충전재를 만들기로 결심했지요.에반 베이어는 요리를 할 때 주로 버리게 되는 버섯의 균사체를 떠올렸어요. 균사체는 버섯과 같은 균류의 ... ...
- 미스터리 2. 사막에 사는 특별한 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사막의 귀염둥이 사막여우는 다른 지역에 사는 여우와 달리 눈에 띠는 특징이 있어요. 바로 얇고 커다란 귀예요. 사막여우의 커다란 귀에는 아주 많은 모세혈관이 있어요. 체온이 올라가면 혈관이 팽창해서 몸속 열을 최대한 바깥으로 내보내지요. 또한 발에 많은 털이 나 있어서 모래사막에서도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된다.“악플도 좋으니 댓글 많이 달아주세요!”인기 만화 작가에게도 무서운 게 있다. 바로 악플보다 무섭다는 무플이다. 는 매 컷마다 댓글을 달 수 있는 웹툰인데, 최삡뺩 작가도 종종 댓글을 읽어본다. 독자들의 재치있는 댓글이 많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절대 다른 사람 의견에 ... ...
- [소프트웨어] 마인크래프트로 배우는 코딩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모아 블록으로 건물을 짓고 주변에 있는 몬스터로부터 집을 보호하는 게임을 개발했다. 바로 마인크래프트다. 마인크래프트는 자기만의 개성 있는 세상을 만들 수 있어 출시 후 꾸준히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런데 마인크래프트와 코딩은 어떤 점이 닮았을까.마인크래프트에서 채광으로 얻을 수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본 것처럼 또 새로운 손님을 받을 수 있습니다. 힐베르트가 지적하고자 했던 것도 바로 이 부분인데요. 무한에서는 ‘방이 남지 않는다’와 ‘새로운 방이 없다(손님이 묵을 수 없다)’는 것이 다른 이야기라는 것이지요.자연수는 투숙 가능, 실수는 투숙 불가이것은 또 다른 독일의 수학자 게오르그 ... ...
이전3233243253263273283293303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