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자동으로 연결해 주고, “오늘 서울 날씨는 어때?”라고 물어 보면 그 날의 서울 날씨를 바로 보여 주는 식이지요.음성인식 과정은 왓슨이나 엑소브레인이 퀴즈를 푸는 것과 비슷해요. 들은 문장 중 핵심적인 단어들을 뽑아낸 뒤, 이 단어의 의미를 파악해요. 그 결과 사용자가 무엇을 요구하는지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람들제비가 돌아오지 않는 정확한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직접 나선 사람들이 있어요. 바로 전국에서 제비의 수를 조사하는 시민 과학자들이 그 주인공이랍니다.서울시는 작년부터 국립산림과학원과 함께 제비를 찾기 시작했어요. 올해는 제비의 몸에 ‘지오 로케이터’라는 장비를 달아 제비들이 ... ...
- PART 2. 생생 캐릭터, 탄생 현장을 가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연기력은 오랜 시간에 걸쳐 완성됐습니다. 이렇게 생생한 캐릭터를 직접 만든 사람은 바로 덱스터 스튜디오의 최완호 창작연구소장입니다. 최근에는 드라마 ‘마녀보감’에서 남자 주인공을 무섭게 위협한 숲 속의 호랑이를 만드셨어요.안녕하세요! 지금까지 어떤 작품으로 대중과 만나셨나요?저는 ... ...
- [수학체험활동]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데이’는 새 학기가 시작되고 가장 처음으로 할 수 있는 수학체험활동입니다. 3월 14일이 바로 원주율 ‘π’를 기념하는 파이 데이거든요. 동아리 학생뿐만 아니라 교내 모든 학생들이 기대에 부풀어서 기다리는 날이기도 합니다. 왜냐고요? 먹성 좋은 여학생들이 여러 가지 파이를 듬뿍 먹을 수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자신의 승률을 제대로 계산하고, 상대의 반응에 대처할 수 있었지요.사람이라면 곧바로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반응했겠지만, 알파고는 계속 자신이 두는 수가 가장 이길 확률이 높은 수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그러지 못했어요. 결국 알파고는 첫 패배 선언을 하고 말았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출동! 섭섭박사] 주스가 쫄깃쫄깃 젤리로 변신! 분자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염화칼슘을 섞으면 알긴산칼슘과 염화나트륨이 생긴다고 했죠? 여기서 염화나트륨이 바로 하지만 직접 만든 분자요리를 맛본 친구들은 우리가 먹는 소금이랍니다. 그래서 분자요리에서도 짠맛이 나는 거예요.기자단 친구들은 오렌지 주스, 포도 주스, 토마토 주스 등 여러 가지 주스들을 이용해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합니다(doi:10.1016/j.jalz.2015.06.1888).흥미롭게도, 세 종류의 식단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해산물과 적당한 양의 육류, 그리고 채소를 곁들인 식사라는 것입니다. 반면, 가공식품과 지방이 많은 고기, 설탕 함량은 낮다는 것도 공통적인 특징이지요. 가공식품·고지방 고기·설탕은 뇌에 염증을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장기를 나이 든 사람에게’ 도 문제한국의 이 같은 특수 상황이 정점으로 치닫는 사례는 바로 미성년자의 장기 기증이다. 우리나라에서 이뤄지는 생존자 간 이식 중 약 8%는 만 18세 미만 미성년자의 기증이다(2010~2013년).현재 장기이식법에는 미성년자 기증을 친족 사이의 이식으로만 한정하고 있고,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파편으로 개체 혹은 종별 유전자형을 비교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RFLP를 인간 유전체에 바로 적용할 수는 없었다. 무작위로 자르기엔 지나치게 길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방법을 고민하던 그의 눈길을 끈 것은 미토콘드리아였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염기쌍은 약 1만6500여 개로 길이가 짧다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뼈만 남긴 채 홀쭉해진다. 앞서 잠깐 언급했던 ‘밤에만 나타나는 근육 빼먹는 동물’이 바로 이 너구리였다.뼈를 갉아먹는 설치동물갯과 육식동물만큼 흔하면서 시체에 관심을 갖는 동물로 설치동물을 꼽을 수 있다. 설치동물의 가장 큰특징은 위턱과 아래턱의 앞니 두 쌍이 평생 자란다는 점이다. ... ...
이전3273283293303313323333343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