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지진으로 땅이 좌우로 흔들릴 때 유독 더 많이 흔들리는 건물이 있습니다. 그 비밀은 바로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뜻하는 ‘진동수’. 건물도 마치 악기처럼 고유한 진동수가 있습니다. 이 진동수는 건물의 높이와 무게에 따라 달라집니다. 땅이 흔들릴 때 높은 건물이 낮은 건물보다 유연하게 ... ...
- [지식] 에르되시도 인정한 고난이도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이곳에서 매년 훌륭한 논문을 쓴 사람에게 상을 주고 있는데, 구스와 카츠가 바로 이 연구로 상을 받은 것이지요.에르되시 거리 문제와 관련된 미해결 문제는 여전히 많습니다. 3차원 공간에서는 어떻게 될지, 더 나아가 더 높은 차원으로 올라가면 f(n)이 어떻게 바뀔지 등 여러 방향에 대한 연구가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프로젝트 평가서를 작성한다.학생이 수업 이끄는 비결?많은 학생이 어려워하는 부분이 바로 단원을 마무리할 때쯤 나오는 ‘활용’ 문제다. 거꾸로 교실에서는 학생이 문제 출제자가 돼 활용 문제를 재구성하는 ‘비주얼 스토리텔링’ 수업으로 어려움을 극복했다. 학생들은 딱딱한 수학 문제를 ... ...
-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영양소를 감지하는 센서가 분명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고 연구했는데, 2005년 그 센서가 바로 맛 수용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표적인 것이포도당을 감지하는 단맛 수용체다. 포도당은 소장 표면에서 포도당 운반을 담당하는 단백질SGLT-1에 흡수되는데, SGLT-1 단백질 속에 있는 단맛 수용체 T1R2, T1R3가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행정팀장은 “TV 프로그램 ‘정글의 법칙’에서 김병만 씨가 잡았던 게가 바로 이 자이언트크랩”이라며 “맛은 별로 없다”는 평가도 덧붙였다.흑진주 만들어 보셨어요?스노클링을 하며 잡은 해양 생물을 직접 해부해 보는 실습 시간도 있었다. 축의 바다에는 우리나라에서 보던 것보다 3~5배 가량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 개체에만 선별적으로 도움을 베풀 수 있다. 많은 사람이 해밀턴의 이론이라고 하면 바로 떠올리는, 피붙이에 대한 이타적 행동이다.혈연 식별 기제를 통해서 혈연만 도와준다는 말이 반드시 돕기 전에 나와 상대방 사이의 유전적 근연도를 의식적으로 따져본다는 뜻은 아니다. 예컨대, 어미 새가 ... ...
- [Tech & Fun] 다른 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걸까, 머리로도 할 수 있는 걸까. 예를 들어 주변 사람이 다쳤을 때에는 타인의 감정을 바로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좀 더 많은 생각을 필요로 하는 공감들도 있기 마련이다. 나와 성별이나 인종이 다른 사람들이 처한 어려움은 비교적 덜 반사적이고, 더 많은 상상력을 동원해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 ...
- [Tech & Fun] 하버드 비스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주인공!)에 따르면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라 연구소 내 전문 기술자에게 얘기를 하면 곧바로 첨단 장비를 이용해서 부품들의 프로토타입을 만들어준다고 합니다. 또 연구비를 따기 위해 제안서를 작성할 때, 이것을 어떤 기업에게 팔 수 있을지 고민하는 전문가가 붙어서 함께 제안서를 작성한대요 ... ...
- Part 1. 세계는 지금 초고속열차 경쟁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따르면 승객 한 사람이 1km를 이동할 때 가장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교통수단은 바로 열차예요. 버스 68g, 자동차 104g, 비행기 285g에 비해 기차는 겨우 14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답니다.게다가 비행기는 공중으로 날기 때문에 환경에 더 나쁜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국제응용시스템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파이썬은 들여쓰기로 덩어리를 나누어요. 이러면 코드만 봐도 명령 덩어리가 몇 개인지 바로 알 수 있겠죠? 파이썬은 아직 C언어보다 사용하는 곳은 적지만,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널리 확대되고 있답니다.프로그래밍 언어 중에는 특정한 상황에서만 쓸 수 있는 종류도 있어요.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 ...
이전3183193203213223233243253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