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박태준 선생의 연애 이야기를 듣고 시를 썼는데, 이 시에 멜로디를 붙여 탄생한 곡이
바로
‘동무생각’ 이랍니다. 골목 입구에 있던 청라언덕은 이 노래의 배경이라고 합니다. 정말 낭만적이지요?음정과 박자, 음색이 조화를 이뤄야 음악이 됩니다. 아름다운 음악은 굉장히 수학적입니다. 만약 ... ...
[과학뉴스] 모유가 아기의 면역계를 훈련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그리고는 시간에 따라 새끼 몸속에 있는 면역 세포의 변화를 관찰했다.그 결과 모유에서
바로
전달된 결핵균 항체가 금방 사라졌는데도 불구하고, 젖을 뗀 생후 12주 된 새끼의 림프절에서 새로운 결핵균 항체가 생성됐다. 이 효과는 생후 1년까지 지속됐다. 연구팀은 새끼의 림프절이 모유에서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1991년 학술지 ‘동물행동’에 발표한 리뷰 논문에 따르면 동물이 정형행동을 보일 때
바로
쉬게 해 주지 않으면 영구적인 뇌 손상이 일어나 치료가 불가능해진다. 신 교수는 “동물카페를 허가제로 바꾸고 관리 규정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며 “위탁 수의사와 연결해 정기적으로 관리해주는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유전자가 전파될 가능성을 작게나마 열어주기 때문에 중요하다는 것이다. 인용문의
바로
앞 단락도 작은 개체군에서는 순전히 우연에 따라 유전적 조성이 크게 변동한다는 내용이다.무엇보다도, 9월호 ‘협력자 끼리끼리’에서 봤듯이, 이타적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가 반드시 개체군내에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의수는 이 가여운 아이들을 돕자는 취지에서 개발되기 시작했다. 이때 만들어진 회사가
바로
현재 전자의수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는 터치바이오닉스다. 이 회사는 1963년 영국 에든버러에 있는 마가렛 로즈 병원의 작은 연구실에서 문을 열고 피해 아이들에게 전자의수를 만들어 주기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아주 먼 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나 물고기도 자석을 이용해서 방향을 알아낸다고 해요.
바로
몸속에 있는 ‘생체자석’을 이용한답니다. 비둘기는 생체자석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동물이에요. 비둘기는 머리뼈와 뇌 사이에 자성을 띠고 있는 자철석을 가지고 있어서 지구 자기장을 감지해서 방향을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교수가 프랑스어로 대답을 하면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의 표정이 밝아진다고 한다.
바로
홀데인 교수의 부인이 프랑스 사람이라 프랑스어로 대화하는 건 집에 오라고 부르는 것이기 때문! 회의 끝~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고체물리학이란 분야가 탄생했다.하지만 여전히 두 가지 신비로운 난제가 남아있었다.
바로
초전도와 초유체 현상이다. 자연의 운동에는 마찰이 따르게 마련인데 이 두 물질계는 자연 법칙을 거스르듯 마찰 없이 전류와 물류(물질 자체의 흐름. 즉 초유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흐름)를 흘릴 수 있어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20~30배 더 많이 들어 있다.고래가 육상 포유류보다 커질 수 있었던 이유는 또 있다.
바로
거구를 지탱해줄 수 있는 부력이다. 부력은 물체를 액체 속에 넣었을 때 그 물체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올리려는 힘을 말한다. 이 때 부력의 크기는 물체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에 해당한다. 즉,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특징을 찾은 뒤 비슷한 것끼리 묶어서 분류해 놓은 덕분에 새로운 생물을 발견했을 때
바로
생물의 종류를 알 수 있지요.결국 컴퓨팅 사고는 어떤 문제든 창의적이고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힘이라고 할 수 있어요. 최근에는 생물 게놈 지도를 만드는 것처럼 거대하고 복잡한 연구에서 큰 ... ...
이전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