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발견되는 것을 관측했다. 미국 프리스턴대의 로버트 디케 교수는 이 노이즈가 바로 우주배경복사라는 것을 알아냈고,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같은 세기로 도착한 우주배경복사는 우주의 등방성을 증명했다.여기에 더해 1989년 우주배경복사를 정밀하게 관측하기 위해 발사된 코비 위성은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카네기멜론대는 컴퓨터 그래픽스와 로봇, HCI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바로 옆에 피츠버그대도 있습니다). 덕분에 연구원들이 도서관이나 식당, 체육관, 식물원 같은 대학 시설을 맘껏 누릴 수 있는 부가 효과도 있죠. 피츠버그대 배움의 전당 앞엔 ‘쉔리 파크’라는 유명한 공원이 있는데 이 ...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곤충이지?대벌레 : 나뭇가지로 감쪽같이 위장하고 있었는데 딱 들켰네요. 맞아요. 제가 바로 세계에서 가장 긴 길이를 자랑하는 곤충 ‘대벌레’예요.저는 몸과 다리가 대나무처럼 가늘고 길다고 해서 대벌레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한자로는 대나무 마디 곤충이라는 뜻의 ‘죽절충(竹節蟲)’, ... ...
- [소프트웨어로 세상을 지켜라! 코드마스터] 신발 먼저 신을래, 양말 먼저 신을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컴퓨터가 작업을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게 하는 과정이 필수랍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위상정렬 알고리즘’이지요.위상정렬 알고리즘은 일의 작업을 순서에 맞게끔 나열하는 알고리즘이에요. 1960년대 초반, 회사에서 진행하는 업무의 일정을 순서대로 배치하기 위해 개발됐지요. 지금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요구르트 병 로켓을 발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공중에서 떨어지는 물건의 속도가 어느 정도 빨라지다가 더 이상 빨라지지 않는 이유도 바로 공기저항 때문이지요. 공기저항은 물체의 속력과 면적에 비례해요. 즉, 면적이 넓은 낙하산을 펼치면땅으로 떨어지려는 힘에 반대되는 공기저항이 커져서 떨어지는 속도가 느려진답니다. 실제 ... ...
- Part 3. 게임이론으로 본 항공사의 속사정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어떻게 정할까요? 항공사가 가장 합리적으로 비용을 분배할 때도 수학이 필요합니다. 바로 ‘협조적 게임이론’! 활주로 비용 분담이라는 게임에 참여한 항공사는 반드시 약속한 규칙대로 비용을 내야 해서 ‘협조적’이라고 합니다. 비용을 분담할 때는 활주로에 영향을 미치는 비율을 정하고 나서 ... ...
- [지식] 자급자족 어부 라이프, 삼시세끼 어촌편3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요리까지 잘하는 이 남자. 바로 에릭이다. 그런 에릭에게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바로 무슨 일이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 맛을 내는 재주는 탁월하지만, 그 맛있는 음식을 맛보기 위해서는 기나긴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그래서 틈만 나면 멍을 때리거나 빈둥대는 에릭을 나영석 PD는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말했다.부모님과 함께 하는 프로그래밍 대회인천 신현초등학교만의 독특한 대회도 있다. 바로 1년에 두 번 열린다는 ‘부모님과 함께 하는 프로그래밍 대회’! 대회의 이름을 듣고 나서 ‘부모님의 직업이 프로그래머가 아니어도 참여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하지만 학교는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가스가 잘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 상태로 버티고 버티다 ‘펑’ 터진 팝콘 같은 암석이 바로 부석이다. 자세히 보니 부석 표면에 끈적끈적한 솜사탕처럼 얇고 길게 늘어진 조직이 보였다. 높은 가스압에 견디는 동안 만들어진 흔적이었다. 약 1000년 전 백두산이 화산폭발지수 7의 대폭발을 했을 땐 ...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꿇고 만다. 이렇게 단 한군데도 예외 없이 온몸 곳곳에 혈관이 골고루 뻗어있는 비결은 바로 프랙탈이다.19세기 독일의 과학자 빌헬름 루는 혈관과 식물 줄기, 강물 세 가지는 어떤 액체를 흐르게 하는 통로라는 점에서 비슷한 구조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혈관은 언뜻 심장에서 나무가 ... ...
이전3133143153163173183193203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