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강아지 번식공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출산하는 목적으로 길러져요. 현재 법으로는 시, 군, 구청에 신고만 하면 누구나 바로 번식장을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마구잡이로 생겨나면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지요.지난 2015년까지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신고된 동물 번식장은 187곳이에요. 하지만 동물보호단체에서는 신고 없이 운영되고 있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사라진 이모의 행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마치 탐정처럼 쓰고 있는 안경을 추켜올리며 얘기했어요.“범인을 찾았어요! 범인은 바로….”비주얼 과학 개념 이해하기흰동가리와 말미잘은 공생 관계많은 생물들은 생태계 안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아가요. 이런 관계를 ‘공생’이라고 해요.특히 흰동가리와 말미잘은 서로 이익을 ... ...
- [도전! 코드마스터] 빠른 길 찾기의 비결은 ‘최단 경로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한결이가 수호에게 첫 과제를 내놨어요. 학교까지 가는 가장 빠른 길을 찾는 거죠. 이건 바로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익히는 과정이랍니다. ... 좋지만, 교통량이 많을 때는 첫번째 길이 최단 경로가 되지요. 내비게이션이 교통량을 바로바로 확인해 안내하는 길을 계속 바꾸는 이유랍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신비한 동물 속 여행, 판타스틱 애니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2배 이상 빨리 뛰는 셈이라고 해요.전시를 둘러보다 보니 눈길을 끄는 표본이 있었어요. 바로 하마였지요. 한 마리의 하마를 뼈와 장기, 근육과 피부로 나눠놓은 표본으로 전세계에 하나뿐이라고 해요. 하마 표본을 통해 어마어마하게 큰 하마의 입속에 머리를 가까이하고 거대한 송곳니를 자세하게 ... ...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충분한 크기로 뭉치지 못한 것들은 울퉁불퉁한 덩어리로 남았어요. 이 덩어리가 바로 소행성이랍니다.1801년 이탈리아 수도사 주세페 피아노가 첫 번째 소행성인 ‘세레스’를 찾아낸 이후, 지금까지 약 45만 개의 소행성이 발견됐어요. 이들은 대부분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에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생물이 무조건 바다를 지배하는 건 아니야. 하지만 우리 두족류에겐 비밀 무기가 있지. 바로 엄청난 생존능력!상어 나타나면 샤샤샥! 갑오징어의 ‘은신술’레이더나 적외선 탐지기, 음향 탐지기 등 모든 탐지망에 포착되지 않는 은폐 기술을 ‘스텔스’라고 해요. 그런데 실험 결과 갑오징어가 이런 ... ...
- [헷갈린 과학] 자두 VS 살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속에 크고 딱딱한 씨가 있는 ‘핵과류’로 서로 무척 비슷해요. 하지만 껍질을 보면 바로 구분할 수 있답니다. 자두의 껍질은 털이 없어서 매끈매끈하고 광택이 나요. 반면 살구는 껍질에 방수 기능을 하는 작은 털이 있고 광택이 없답니다.살구살구는 6~7월이 제철로, 자두보다 새콤한 맛이 덜하고 ... ...
- [핫이슈] 새콤달콤 여름을 즐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알려 주는 용액이지요. 과학 시간에 ‘양배추 지시약’을 본 적 있나요? 양배추 지시약이 바로 안토시아닌의 성질을 이용한 거랍니다.엄마, 아빠도 즐거운 포도·복숭아 축제포도·복숭아가 발효과학을 만나면?예로부터 우리나라 전통 음식엔 발효과학을 활용한 음식이 많아요. 김치와 된장은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우산 재벌 ‘ 억수르 비마즐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푸는 동안 점점 굵어지는 빗줄기 속에서 썰렁홈즈는 이제 정말 우산을 쓰고 싶었다. 바로 그때! 억수르 비마즐라가 커다란 상자를 하나 내밀었다. 상자에 달린 화면에는 이상한 계산식이 쓰여 있었는데….“자, 이 상자에는 아주 중요한 단서가 들어 있지. 이 상자를 열려면 계산식을 풀어서 암호를 ... ...
- [도전! 코드 마스터] 컴퓨터는 내가 원하는 정보를 어떻게 찾아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쓰면 그 데이터가 포함된 공간이 어디인지 바로 나오지요.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로 ‘검색 알고리즘’이랍니다.검색 알고리즘은 찾고자 하는 데이터가 어디 있는지 밝히는 알고리즘이에요.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데이터 검색부터 ‘알파고’ 같은 인공지능의 학습에까지 두루두루 쓰이고 ... ...
이전3093103113123133143153163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