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거북목은 단단한 껍질로 온몸을 보호하고 있는 파충류예요. 바다에서 서식하는 바다거북과 저수지나 호수에서 서식하는 민물거북, 또는 육지에서 서 ... 절대 건드리거나 먼저 공격하지 않는 거예요. 뱀의 습성을 이해하고 삶을 존중해 주는 것이 바로 숲을 안전하게 즐기는 방법이랍니다 ... ...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크기와 방향으로 흘러가는 회로를 뜻해요. 건전지를 연결해 간단히 만드는 전자 회로가 바로 직류 회로예요. 한편 교류 회로는 시간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계속 바뀌는 회로를 뜻해요. 직류 회로는 일정한 전류가 필요할 때, 교류 회로는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해야 할 때 주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우유공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만들기기자단 친구들은 마지막으로 우유를 더 맛있게 먹는 비법을 배워 보기로 했어요. 바로 우유 빙수 만들기! 우유로 빙수를 만들면 얼음을 가는 기계가 없어도 맛있는 빙수를 만들 수 있답니다. 우유 속 지방이 물을 감싸서 얼음 결정이 작아지게 만들기 때문이에요.우유 빙수를 만드는 방법은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읽어요. 실패에 감긴 실을 푸는 모양을 본뜬 글자에 ‘새 을(乙)’을 붙여 ‘얽힌 것을 바로잡는다’는 의미로 쓰였지요. 이 과정에서 실이 다시 얽힐 수도 있기 때문에, 결국은 ‘어지럽다’는 의미까지 포함하게 됐답니다. 적란운이나 ‘난층운’처럼, 구름 이름에 ‘란(난)’이 있으면 비를 잘 ... ...
- Part 5. 상괭이 떼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있도록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어요.반가운 소식이 또 있습니다. 바로 상괭이가 올해 8월 15일 우리나라 보호대상해양생물 52종 중 하나로 지정될 예정이라는 소식입니다. 상괭이들에게 무슨 일이 생긴 건 아닌지, 이제 더 이상 상괭이를 볼 수 없는 건 아닌지 걱정하며 시작했던 ... ...
- Intro. 전자 심판으로 오심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인간이 알아차리기 힘든 0.0001초의 차이까지 알아내는 예리한 전자 심판들을 지금 바로 만나 보자!* 비니시우스 : 브라질 야생동물의 특징과 성격에서 착안해 만든 캐릭터로, 고양이의 민첩함과 원숭이의 당당함 그리고 새의 쾌활함을 가지고 있다. 브라질의 유명한 음악가 ‘비니시우스 지 ... ...
- Part 2. 0.0001초 차이까지 알아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센서가 있지요. 선수들이 발을 언제 떼었는지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부정출발도 바로 알아낼 수 있답니다.더 많이 찍어서 자세히 본다!육상 경기 골인의 순간, 포토셀은 결승선에 적외선을 발사해서 선수가 결승선을 통과하는 시간을 정확하게 감지해요. 미세분할 비디오 시스템은 결승선에 딱 ...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다양성 알기’였어요. 캠프가 시작되자 장이권 교수님은 한 가지 미션을 더 주셨어요. 바로 ‘함께 탐사하고 소통하며 탐사의 즐거움 나누기’!이를 위해 대원들은 모둠별로 나누어 캠프 프로그램에 참가했어요. 낮에는 북한산 탐방로에서 곤충 탐사와 외래식물 제거을 하고, 밤에는 노래 곤충 ... ...
- [헷갈린 과학] 망고 vs 파파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그래서 열매를 언뜻 보면 망고와 헷갈리기 쉽답니다.파파야와 망고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씨앗이에요. 망고는 열매 하나에 커다란 씨앗이 한 개 들어 있는 반면, 파파야는 하나의 열매 속에 까맣고 동글동글한 씨앗이 여러 개 들어 있거든요. 또한 파파야는 망고에 비해 단맛이 덜 하고 독특한 ...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점은, 출발점으로 돌아가는 경로인 ‘사이클’이 없어야 한다는 거예요. 트리의 정의가 바로 ‘사이클이 없는 그래프’거든요. 사이클이 있으면 비용을 계산할 때 필요하지 않은 금액을 계속 더할 위험이 있답니다.예를 들어 A, B, C, D 네 지점을 잇는 그래프를 살펴볼게요(오른쪽 페이지(아래 그래프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