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설
인공
제작
제조
처리
d라이브러리
"
가공
"(으)로 총 1,15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자동차의 힘은 기계에서 나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금속을 소금물(NaCl)에 넣고 전기를 걸어 표면을 깎아내거나
가공
하는 것이다. 무척 섬세하게 금속 표면을 할 수 있어 세계 학계가 꽤 주목하고 있다. 주 교수는 “첫 논문의 인용 횟수가 벌써 100회를 넘었다”고 말했다.주 교수는 어렸을 때부터 뭐든지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는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썼다. 하지만 유 박사 연구팀은 ‘흄드 실리카’라고 불리는 값싼 소재를 나노기술로
가공
해 구형 실리카와 성질이 같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 원자재 값을 10분의 1이하로 줄이면서도 방탄성능은 그대로다.연구팀 관계자는 “이 물질을 이용하면 무게와 부피를 기존 제품보다 15% 이상 줄이면서도 ... ...
플라스틱, 제대로 알고 버리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원가가 높아 상품화가 어렵다. 또한 유전공학을 이용한 미생물의 대량 생산과 분리, 정제
가공
기술 연구가 뒷받침돼야해 상품화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마지막으로 광분해성 플라스틱은 빛에 일정 기간 노출되면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자외선을 받으면 고분자 고리가 끊겨 플라스틱의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이 때는 바로 호모 에렉투스가 큰 두뇌와 몸집을 하고 아슐리안 돌도끼(석기의 양쪽 면을
가공
해 다듬은 발전된 석기)를 만들어내는 시점입니다. 인류는 큰 두뇌와 큰 몸집을 가지고 사냥을 제대로 하면서 본격적으로 고기를 먹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그 고기는, 인류가 유전적인 변화를 거친 ... ...
Can a Program Become a Journalist?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만든다. 그런데 그들이 스토리도 만들 수 있을까? 시카고에 있는 내러티브 사이언스사가
가공
되지 않은 데이터로 스토리를 만드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포브스지(경제잡지)의 웹사이트에 프로그램 이름으로 기사를 올릴 만큼 아주 잘 작동하고 있다. 내러티브 사이언스사의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가공
식품을 통한 당 섭취량이 급증했다(19.3g에서 27.3g으로 41% 증가).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가공
식품이 당 섭취량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일까. 얼핏 생각하면 우리도 탄산음료일 것 같지만 결과는 뜻밖에도 커피였다(8.9g으로 33% 차지). 그 다음이 주스 같은 음료류(5.8g으로 21%), 과자·빵류(4.2g으로 16%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암호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동시에 암호로 바꾸고서도 딱 필요한 자료만 노출해
가공
할 수 있는 ‘계산지원 암호’ 혹은 ‘암호적 계산’의 필요성도 늘어날 것이다. 절대로 풀 수 없는 암호를 생각하는 일은 즐겁지만, 실용성 또한 무시할 수 없다. 과연 튜링이 오늘날 살아 있었다면 절대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저장탱크로 옮기지 않고 그대로 기체로 만들어 하역작업을 할 수 있게 한 선박이다. [
가공
할 위력의 허리케인이나 태풍에도 부서지지 않는 선박, 해양구조물 설계는 해양과학자들의 영원한 과제다. 2005년 발생해 미국 플로리다를 강타한 허리케인 리타에 의해 선박이 파괴돼 육지로 올라왔다.]점점 ... ...
아낌없이 주는 숲 맹그로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해당하는 작은 섬마을 사람들의 주된 생업은 수산업. 어패류를 잡아먹고 해초를 양식해
가공
업자에게 팔기도 한다. 섬에는 식수가 없어 외지에서 사와야 한다. 하루하루가 어렵고 힘들지만 마을 사람들에게도 희망은 있다. 바로 섬을 둘러싸고 있는 ‘맹그로브 숲’이다. 열대의 늪이나 해안가에는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못해 관찰이 불가능하다. 결국 광학현미경으로 보던 시료를 전자현미경에서 보려면 얇게
가공
해 또 다른 시료를 만들어야 한다. 두 현미경으로 같은 시료의 동일한 부분을 관찰할 수 없다는 뜻이다.기초연은 두 현미경에서 같은 부분을 관찰할 수 있는 상관현미경 기법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 ...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