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젤리"(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08
- 4℃에서 뇌에 투명한 하이드로겔 용액을 넣었어요. 하이드로겔은 온도가 높아지면 젤리처럼 말랑말랑하게 굳어요. 이렇게 굳으면서 뇌에 있는 신경세포들이 제 위치에 있도록 고정시켜 주지요. 그 다음 전류를 흘려 뇌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지방질을 녹여요. 그러면 뒤에 있는 글자가 훤히 ... ...
- SHAKE 웃음이 나는 개들의 굴욕 순간 힘차게 흔들어!어린이과학동아 l201421
- 침이 사방으로 날리고, 턱살은 젤리처럼 늘어지고 눈알이 뛰어나올 듯해요. 귀여운 개들의 굴욕사진이네요. 도대체 뭘 하고 있는 거냐고요? 바로 몸을 털고 있답니다. 개들은 젖으면 몸을 힘차게 털어서 탈수기처럼 물을 털어 내요. 몸을 털어내는 시간은 1~2초 정도로 아주 짧아서, 그 순간에 개들이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21
- 과립들이 짓눌리고 막이 터지면서 안에 있던 내용물들이 흘러나와 졸(sol)상태로 변했어. 젤리처럼 말랑말랑한 고체 형태였던 젤 과립이 액체 형태인 졸 상태로 변하면서 이리저리 움직이는 성질이 생긴 거지. 이렇게 졸 상태로 변한 과립들 때문에 바닥에서 훨씬 잘 미끄러지게 된 거야. 마치 스키를 ... ...
- 진짜와 꼭 닮은 ‘가짜 과일’ 인쇄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12
- 향이 비슷한 ‘가짜 과일’을 만들어요. 젤리 재료인 알긴산염과 염화칼슘용액을 섞어 젤리를 만든 다음, 동글동글한 열매 모양으로 만들어요. 그리고 이 안에 과일즙을 넣지요. 3차원 푸르츠프린터를 이용하면 동그란 모양뿐 아니라 하트모양이나 별모양, 정육면체 등 원하는 모양으로 과일을 만들 ... ...
- 앵두 VS 버찌어린이과학동아 l201412
- 놀이터에서 나무에 맺힌 새빨갛고 동그란 열매를 보았어요! 무척 맛있어 보여서 따먹으려고 하는데 엄마가 앵두가 아니라 버찌라고 하셨어요. 빨갛고 동 ... 앵두나 체리보다 맛이 시고 달지 않아 생과일로 먹으면 맛이 없어요. 그래서 잼이나 젤리, 주스 등으로 만들어 먹는 경우가 많아요 ... ...
- [시사] 물방울이 만드는 찰나의 예술수학동아 l201405
- 다른 색깔의 식용색소를 풀고,물방울을 연달아 떨어트려 충돌시킨 모습이다. 작가는 젤리 같은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서 물속에 ‘구아검’이라는 식품첨가물을 섞었다. 구아검은 물에 풀어 주면 끈적한 정도인 점성을 증가시킨다. “아름다움 속에 수학이 있어요!”저는 독일에 사는 아마추어 ... ...
- 네가 먹는 초콜릿은 진짜 초콜릿이니?과학동아 l201402
- 정도, 설탕같은 당의 양 등에 따라 충치유발지수가 결정되는데, 초콜릿은 15로 젤리(46), 캬라멜(38), 인절미(19)보다도 낮다. 카카오 버터 덕분에 쉽게 녹아 치아 사이에 잘 남지 않기 때문이다. 충치 원인이 아예 아닌 것은 아니지만, ‘충치의 주범’은 아니다. 물론 초콜릿 안에 아몬드나 과자같은 ... ...
- 불량식품첨가물 꼼짝 마!어린이과학동아 l201316
- 고유의 색을 유지하고 품질을 높이기 위해 쓰는 식품첨가물로 아이스크림, 사탕, 음료, 젤리, 과자, 껌 등 다양한 식품에 넣는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에서도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하루에 먹을 수 있는 허용량을 정하는 등 엄격한 안전관리 지침에 따라 관리한다. 이 색소가 ... ...
- 깨볶는 과학 마지막회 우유+여드름균=맛있는 치즈과학동아 l201312
- 많이 들어 있기 때문이에요. 카세인은 열을 가하면 응고하지 않지만 산성에서는 젤리처럼 탄탄하게 굳어요. 우유 안에는 카세인이 다른 단백질보다 4배나 더 많이 들어 있답니다.오늘도 한양대 조리과학연구실 ‘사이언스 인 더 키친’에서 연구원들과 함께 코티지치즈를 만들어 보았어요. 먼저 ...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12
- 아니라, 생물학적 원인이 분명한 ‘질환’ 입니다”라고 말했다. 1880년 프랑스의 젤리노 박사가 ‘견딜 수 없을 정도의 졸음’에 ‘narcolepsy(기면증의 영어 이름)’라는 이름을 붙인 뒤, 1950년대 미국의 디멘트라는 학자가 기면증 증상이 있는 개를 순종교배시켜 연구하면서 기면증연구가 획기적으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