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고
높이
키
고도
d라이브러리
"
해발
"(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시베리아 동남부와 만주 및 한국에서 발견된다. 남한에서는 주흘산, 울진의 통고산등
해발
1천m이상의 고산지대에 서식한다. 산양은 고라니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짐승중 가장 오랫동안 소(牛)목의 원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원시적인 동물이다. 1960년대의 폭설로 한때 절종의 위기에 처했으나, ... ...
우주적 위험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달려 있다. 높이 올라갈수록 위에는 공기가 더 조금 있고 받는 우주선의 양은 늘어난다.
해발
1마일의 콜로라도 덴버에 사는 사람들은 해수면에 사는 로스앤젤레스나 뉴욕 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은 우주선을 받는다(그러나 덴버 사람들은 충분한 보호를 받는다). 아주 높은 하늘을 나는 비행기 안의 ... ...
남미 최남단, 「비글해협」을 지나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아니어서 기후 고도 토양 일조기간 등 여러 인자와 관계가 있다. 비글해협 주변에서 처럼
해발
3백m로 낮아진다는 것을 생각하면 위도에 따르는 한계선의 저하와 분포하는 식물종의 다양한 변화는 재미있는 결과를 보여줄 것이다. 실제 화강암 우세지역의 나무는 전술한대로 키 4~5m에 나무몸통이 ... ...
파충류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북부에서 뉴질랜드의 슈츠와트섬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개중에는 있다.
해발
5천 m 지점에서 사는 놈도 있다.이들의 뚜렷한 특징중의 하나는 각질의 피부가 주름잡혀 비늘처럼 돼있는 점이다. 비늘은 과립상의 작은 것과 판상의 큰 것으로 구분된다. 이 비늘의 역할은 수분증발을 막고, ... ...
동쪽 끝에 우뚝 솟은 화산섬 독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131°52', 북위 37°14'. 행정소속은 '경상북도 울릉군 남면 도동 산42번지~산75번지'다. 동도(
해발
1백21m)와 서도(
해발
1백51m)가 주요섬이고 주변에 60여개의 암초가 분포돼 있다. 총면적은 약18.6㎢(약 5만평). 김자주가 성종실록에 묘사한 가운데 섬이 서도이며 바다섬은 동도인 것으로 추측된다. 바닷물이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고도가 낮아서 조금 도달하는 태양열마저 대부분 얼음에 반사되어서 몹시 춥다. 83년 7월
해발
3천4백80m의 소련기지 보스토크에는 영하 89.6℃가 기록되는 등 전반적으로 북극보다 기온이 더 낮다.남극은 98%가 평균두께 2천1백690m의 얼음으로 뒤덮여 있다. 이 얼음이 모두 녹는다면 전세계의 ... ...
거친 환경에 적응한 4백여종 한국의 고산식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영향은 대단히 커 식물의 분표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작용한다.기온은
해발
고도가 1백m 높아짐에 따라 약 0.6℃ 하강한다. 산이 높아지면 기압과 공기중의 포화수증기압은 낮아지며, 반대로 수중기의 함량은 높아져 습도가 높게 된다. 수증기는 기온의 강하 때문에 응축되어 비로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번 제14차 분출시기는 예측하기 어렵다. 백두산 천지밑의 높은
해발
고도에도 불구하고 온도 높은 온천이 많은 것으로 보아서, 천지 밑에는 열을 공급하는 열원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특히 천지표면은 겨울철에 모두 꽁공 얼어붙지만, 3군데만은 얼지않는다. 여름철에도 ... ...
두손으로 가슴을 치는 사연은? 고릴라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말을 들었던 것이 마운틴고릴라에 대한 첫 뉴스였다.그후 1901년 독일의 '베링게'대위가
해발
3천6백47m의 사비니오산에서 고릴라 한 마리를 사살한 적이 있다. 그런데 2년 뒤인 1903년 '마치'라는 학자가 이 고릴라를 로랜드고릴라와는 다른 신종으로 규명하였다. 또 그는 베링게대위의 이름을 따서 ... ...
금강산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비로봉 능선을 따라 영랑봉에 이르는 능선은 아주 평탄하다. 이 능선 북쪽의 사면은
해발
1천3백m 부근까지 산 사면의 기울기가 느리다. 영랑봉 서쪽 2백50m에 있는 능허봉에도 1천3백m보다 높은 곳에 기울기가 느린 곳이 있다. 이러한 곳은 월출봉(1580m)주위, 채하봉(1588m)부근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런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