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고
높이
키
고도
d라이브러리
"
해발
"(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최초의 우주특파원 박찬욱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수송기는 하늘로 오르다
해발
6천m에서 엔진을 끕니다. 이때부터 수송기는 관성으로
해발
9천m에 이르렀다가 다시 6천m로 떨어질 때까지 약 25초동안 무중력상태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2g의 강력한 중력가속도를 받기때문에 체력소모가 많고 힘이 들었습니다."박찬욱기자가 놀란 것이 또 ... ...
1. 남극의 자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표면의 98%는 평균 2천1백60m의 두께로 얼음이 쌓여 있다. 남극의 최고봉인 빈슨매시프는
해발
5천1백40m.3 바람은 실종의 원인13.9m/초 이상의 풍속이면 걷기조차 힘들다. 그런데 남극의 해안에서는 연평균 22.4m/초의 바람이 분다. 그래서 바람이 불 때는 기지내에서 움직일 때조차 줄을 잡고 이동해야 ... ...
'나비 천국' 계방산·발왕산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채집에 들어갔다. 같은 산줄기에 속한 두 지역은 거리로 따져보면 대략 1㎞가 안되지만
해발
고도는 7백-8백m 정도 차이가 난다. 또한 이승복 생가터 일대는 기념관 건립 후 관광객의 급증으로 인위적 손길이 비교적 많이 닿은 곳이기 때문에 두 지역간의 생태적 차이점이 있는지 여부도 확인하려는 ... ...
성경 속의 식물이름, 잘못 번역된 것 많다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살펴보기로 하자.향백나무이 나무는 소나무과에 딸린 상록교목이며 레바논 산맥 가운데
해발
1천5백-1천9백m 지대의 돌밭에서 자라고 있다. 수령은 2천-3천년 정도이며 당시 귀중한 건축재 및 선박재로 사용했다는 사실이 고고학적 연구결과에서 나타났다.역대기(하) 2장3절의 "당신은 본인의 선친께서 ... ...
발효식품 탁월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영양공급원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것이 인류문화사의 공통적인 견해다.잉카문명이
해발
3천m의 고지에서 형성될 수 있었던 것은 그 지역에서 자생하는 특수한 콩과식물이 그들의 단백질 급원이 됐기 때문이다. 혹한의 북극지역에서 에스키모인들이 생활할 수 있는 것도 빙하지대에 모여 사는 특수한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부근인 천지지역의 현무암 두께는 약 3백m 이고, 평균두께는 약 1백10m로서 분포고도는
해발
6백-1천1백m다. 백두산 외곽으로부터 북쪽과 동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넓고 평탄한 용암대지를 이루고 있다. 이 현무암을 군함산기 (軍艦山期) 현무암이라 부른다. 백두산 순상화산체를 형성한 다량의 ... ...
납, 로마제국 쇠퇴 주요 원인의 하나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높은 수치의 납에 오염돼 있었다고 한다.이번에 패터슨 연구진은 그린랜드 중부에 있는
해발
3천2백38m의 산정에서 얼음에 구멍을 뚫고 채집한 길이 3천28.8m의 주상 샘플을 분석했다.아직 납을 이용하지 않았던 기원전5760년 경에는 얼음 1g당 압 0.55피코g(피코는 ${10}^{-12}$)이 함유돼 있었다. 기원전 500년 ... ...
바다 속에서 솟아오른 화산섬 하와이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큰화산이 있다. 세계 최대 순상활화산 마우나로아 산섬 중앙에는 사화산(死火山)인
해발
4천2백60m의 마우나케아 산이 우뚝 솟아 있으며 중남부에는 아직도 화산활동중인 4천1백70m의 마우나로아 화산과 킬라우에아 화산이 있다.마우나로아(Mt. Mauna Loa)는 활화산으로 세계 최대의 순상화산(楯狀火山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백두산 남부, 즉 북한측에서는 대략
해발
2천m 이상과 백두산 북부, 즉 중국측에서는 대략
해발
1천8백m 이상의 고지대에 해당한다. 따라서 남한에는 고산식물대를 이루고 있는 산이 없다.지금까지 조사된 백두산 고등식물은 1천3백여 종, 그중 백두산의 고산에 나는 꽃피는 고등식물은 2백여 종에 ... ...
황금 원숭이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가지고 있어 잿빛 황금 원숭이(grey-golden monkey)라고도 불리는데, 인구가 적은 귀주성의
해발
1천1백-2천m 되는 처녀림 지역에 주로 살고 있다. 습성은 촨과 유사.과일과 나무의 싹을 주식으로 하는 이들 황금 원숭이는 다른 종의 원숭이들과 비교해 '우아'하고 침착하다. 이들은 황금색의 부슬부슬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