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고
높이
키
고도
뉴스
"
해발
"(으)로 총 176건 검색되었습니다.
태백도 '이글이글'…전국이 폭염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발령되지 않은 곳은 한라산(제주산지와 북부·남부중산간)이 유일하다. 태백은
해발
고도 1000∼1600m의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고도 650m의 고원 분지로 여름철 폭염과 열대야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실제 평년(1991∼2020년 평균) 7월과 8월 최고기온 평균값은 25.9℃와 26.0℃에 그친다. 일 최고기온이 ... ...
[르포] 석탄 캐던 탄광이 달자원 탐사 장비 실증 무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기술로 개발된 달 자원 탐사·채굴용 로버 3대. 지질연 제공 강원 태백시는 평균
해발
고도 902.2m로 한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도시다. 태백시는 1980년대 초까지 국내 석탄의 약 3분의 1을 생산하며 당시 한국 산업의 에너지 공급을 담당했다. 이후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라 석탄 산업이 쇠퇴하면서 ... ...
[내가 만난 멸종위기종] 구상나무가 한라산에서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25.03.29
해발
고도 1400~1600m 구간에서는 구상나무 숲이 점차 위로 올라가는 현상이 보여요.
해발
고도에 따라서 온도가 낮아지니까 고지대의 구상나무 숲이 확장하는 식이죠.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부분이에요. 20년 뒤 후배 연구자가 '옛날에 어떤 할아버지 연구자가 이런 데이터를 만들어놨던데' 하면서 제 ... ...
12일 정월대보름 가장 둥근 달, 서울서 밤 10시 53분에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0m를 기준으로 달의 윗부분이 지평선상에 보이거나 사라지는 순간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해발
고도와 지형, 공기의 밀도, 온도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완전히 둥근달이 되는 시각은 어느 지역이나 동일하다. 정월대보름이나 한가위에 가장 큰 보름달이 뜰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 ...
2025년 첫 해, 서울 기준 7시 47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시간은
해발
고도 0m를 기준으로 계산된 시각이다. 고도가 높을수록 일출시각이 빨라져
해발
고도 100m에서의 실제 일출시각은 발표시각에 비해 2분 가량 빠르다. 올해 12월 31일 가장 늦게 해가 지는 곳은 전남 신안 가거도로 17시 40분까지 지는 해를 볼 수 있다. 기타 지역의 일출·몰 시각은 ... ...
반사율 97% 신소재로 다시 쓰는 이솝우화
과학동아
l
2024.09.28
햇빛이 쨍쨍한 날의 경우 냉각 효과는 무려 16℃에 이르렀습니다. 북위는 24도지만
해발
고도가 높은 쿤밍시에서는 밤과 낮에 각각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밤에는 1.6℃ 수준이었지만 낮에는 복사 냉각 효과가 3.5~15.1℃에 달했습니다. 함께 연구를 살펴본 김 연구원은 "5~6℃ 수준의 복사 냉각 소재는 ... ...
한가위 보름달 17일 오후 6시 17분 '봉긋'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반대쪽에 위치해 완전히 둥근달이 되는 시각은 추석 다음날인 18일 오전 11시 34분이다.
해발
0m를 기준으로 17일 주요 도시에서 달이 뜨는 시각은 △인천 오후 6시 18분 △대전 오후 6시 14분 △대구 오후 6시 9분 △광주 오후 6시 15분 △부산 오후 6시 6분 △울산 오후 6시 6분 △세종 오후 6시 15분이다. ... ...
주문진 국지성호우 예측한 강릉 기상레이더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관망할 수 있었다. 지난해 화재의 영향으로 군데군데 삼림이 빈 경포호 부근도 보였다.
해발
고도 99m에 위치한 강릉 기상레이더는 지상 10층 건물과 커다란 구 모양 보호막 안에 들어 있는 직경 8.5m 안테나로 이뤄져 있다. 접시 모양의 안테나는 30초에 360도로 1바퀴씩 빙글빙글 돌면서 대기권을 ... ...
드론에 항공기까지 '구름씨' 살포…5년간 인공강우로 산불예방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일 비상을 준비하는 인공강우용 드론. 기상청 제공 "드론 이륙 시작!" 지난 3일
해발
고도 823m 대관령에 자리한 강원 평창군 '구름물리선도센터' 실험장에서 드론 한 대가 굉음을 내며 날아오르기 시작했다. 이 드론은 인공강우용 드론으로 아랫 부분에 인공강우 유발 물질인 '구름씨'를 뿌리는 연소탄 ... ...
24일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작은 ‘보름달’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0m를 기준으로 달의 윗부분이 지평선상에 보이거나 사라지는 순간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해발
고도와 지형, 공기의 밀도, 온도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