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고
높이
키
고도
뉴스
[르포] 석탄 캐던 탄광이 달자원 탐사 장비 실증 무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기술로 개발된 달 자원 탐사·채굴용 로버 3대. 지질연 제공 강원 태백시는 평균
해발
고도 902.2m로 한국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도시다. 태백시는 1980년대 초까지 국내 석탄의 약 3분의 1을 생산하며 당시 한국 산업의 에너지 공급을 담당했다. 이후 에너지 정책 변화에 따라 석탄 산업이 쇠퇴하면서 ... ...
[내가 만난 멸종위기종] 구상나무가 한라산에서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25.03.29
해발
고도 1400~1600m 구간에서는 구상나무 숲이 점차 위로 올라가는 현상이 보여요.
해발
고도에 따라서 온도가 낮아지니까 고지대의 구상나무 숲이 확장하는 식이죠.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부분이에요. 20년 뒤 후배 연구자가 '옛날에 어떤 할아버지 연구자가 이런 데이터를 만들어놨던데' 하면서 제 ... ...
12일 정월대보름 가장 둥근 달, 서울서 밤 10시 53분에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0m를 기준으로 달의 윗부분이 지평선상에 보이거나 사라지는 순간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해발
고도와 지형, 공기의 밀도, 온도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완전히 둥근달이 되는 시각은 어느 지역이나 동일하다. 정월대보름이나 한가위에 가장 큰 보름달이 뜰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 ...
2025년 첫 해, 서울 기준 7시 47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시간은
해발
고도 0m를 기준으로 계산된 시각이다. 고도가 높을수록 일출시각이 빨라져
해발
고도 100m에서의 실제 일출시각은 발표시각에 비해 2분 가량 빠르다. 올해 12월 31일 가장 늦게 해가 지는 곳은 전남 신안 가거도로 17시 40분까지 지는 해를 볼 수 있다. 기타 지역의 일출·몰 시각은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포어족이 살고 있는 마을에 들어가 함께 살기 시작했다. 호주 정부에 의해 포어족은
해발
1,000-2,500미터에 격리된 상태로 살고 있었다. 포어족의 관습중에는 가까운 친척이 사망했을 때 죽은 사람의 뇌조직을 떼어 먹는 의식이 있었다. 증상이 뇌기능에 문제를 일으켰으므로 이러한 식인습관이 쿠루의 ... ...
[기후위기와 산림] 문제는 기후변화 속도...구상나무는 살아남을 수 있을까
2022.10.27
지리산 구상나무를 활용, 복원재료를 확보하고 5년 동안 키웠다. 금원산 지역 중에서
해발
약 1100m의 북사면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고 2019년 1350본을 심었다. 3년이 지난 2022년 조사 결과 92.7%가 생존해 초기 활착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속적인 관리와 모니터링으로 기후위기로 소멸 위협이 ... ...
[특별기고] 더욱 가까워진 우주시대...100년 뒤를 상상한다
2022.08.27
양력 대신 원심력을 얻어 중력과 균형을 이루게 된다는 설명이다. 바로 그 임계 고도가
해발
100km에 해당되는 카르만 라인이며, 실제로 국제항공연맹(FAI)은 그 라인 너머 외계를 다녀온 사람에 한해 우주인으로 공인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카르만 라인을 80km로 낮추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도에 적응하는 식물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6.18
식물들은 극한 고도에 적응하면서 생명을 이어가고 있다. 꽃을 피우는 속씨식물들은
해발
6400m 높이까지 적응하며 자라기도 한다. 마이클 홀스워스 영국 노팅엄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15일 식물이 극한 고도에 적응하기 위해 산소의 대기 중 비율을 나타내는 부분압을 읽을 수 있도록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Day2. 깎아지른 수직 협곡과 옥빛 하천이 눈앞에! (타이루거 협곡-칠성담 해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거대한 대리석 절벽이 눈앞에 펼쳐져 탄성이 절로 나왔지요. 타이루거 국립공원은
해발
고도 3000m가 넘는 산봉우리가 27개나 되는 산맥에 위치해요. 이 지역의 암석들은 과거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이 부딪히면서 높은 압력과 열을 받았어요. 그로 인해 2억 3000만 년 전 중생대 바다 아래서 쌓인 ... ...
아마존강 탐험대, 출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5호
다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Q. 어떤 위험이 있을까요? 아마존강은 페루의 안데스 산맥
해발
약 5000m 지점에서 시작됩니다. 이곳은 공기가 매우 희박해 두통과 메스꺼움을 동반한 고산병을 앓을 확률이 높죠. 그리고 아마존강 상류의 급류를 카약을 타고 헤쳐 나가려면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합니다.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기록됐다고 덧붙였지요. 미국지질조사국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보통 번개 섬광은
해발
20km 이상에서는 기압이 낮아 잘 발생하지 않는데, 화산 폭발이 높은 고도에서도 번개를 만들어 낼 만큼 비정상적으로 매우 높은 기압을 형성했을 것”이라며, “화산 분출이 강력한 번개를 유발할 수 있다는 ... ...
[특집] SF 시나리오, 미래의 한반도는?
과학동아
l
2022년 10호
사람은 없었다.한국은 갈등이 빨리 찾아온 편은 아니다. 21세기 초 기준 서울의 평균
해발
고도는 38m였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2m), 태국 방콕(1.5m), 영국 런던(11m), 캄보디아 프놈펜(12m) 등 일부 국가의 수도는 일찌감치 잠겼다. 수도 이전을 두고 수백 년간 난장판이 벌어졌다. 서울은 아직까진 버틸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영원히 멸종된 동물 - 아시아,오세아니아 편
기사
l
20240224
이 쥐가 살던 섬이 기후변화로 인하여 범람하여 멸종한 것으로 보입니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따르면 브렘블케이의 가장 높은 곳이
해발
3m인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서 멸종된 동물들을 알아봤습니다. 이 지구상에서 멸종된 모든 동물들은 우리가 잊지 않아야 합니다. 지금까지 김선우 기자였습니다. 김사합니다. ...
청사과가족 - 230513 - 4
탐사기록
l
20230513
지리산 중산리에서 천왕봉 가는길천왕봉.
해발
1610미터인데 여기는 아직 꽃봉오리입니다 ...
우리나라의 멸종위기 동물들
기사
l
20230426
기후변화로 없어질 때즘이면 긴점박이올빼미도 한반도에서는 그 서식지를 모두 잃어버린 후가 아닐까 합니다. 긴점박이 올빼미는
해발
1,200m 내외의 아고산과 그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서식하는데, 하늘다람쥐와 마찬가지로 기후 변화가 극심해 서식지를 잃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동물들 외에 사향노루나 하늘다람쥐 등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이지민 이 ...
[챌린지] 시드볼트에 대해 알아보자!(11/8)
기사
l
20230424
어떤 구조로 만들어졌어요? 2015년에 설립되었으며,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해 있고,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에서 운영합니다.
해발
고도 600m에 있는데, 지하 46m 지점에 터널형으로 만들었습니다. 강화콘크리트 60cm와 3중철판구조를 사용해서 규모 6.9 지진에도 견딜 수 있게끔 설계되었고, 자가발전기도 운영합니다. 3. 경비가 얼마나 ...
세상에서 가장 높은곳 TOP3
기사
l
20220424
안녕하세요 이정완기자입니다. 갑자기 가장 높은 곳에 대한 궁금증이 생겨 이 기사를 씁니다 . 가장 높은 곳 1위 에베레스트 산입니다 에베레스트 산은
해발
8848m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 ... 세계에서 2번째로 높은 곳 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곳 3위는 칸첸중가입니다. 칸첸중가는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