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고
높이
키
고도
d라이브러리
"
해발
"(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주변의 공기는 초속 수십m의 빠른 속도로 적란운 속으로 빨려들어간다. 상승할수록
해발
고도가 높아져 온도는 내려간다. 또한 기압이 낮아지면서 팽창하기 때문에 공기가 머금을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은 줄어든다. 따라서 빨려올라가는 공기는 빠른 속도로 물방울로 변하면서 구름이 되는 것이다. ... ...
천혜의 생태계 민통선 희귀식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북부산악지역에만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 식물이다.탐사팀은 한바탕 소나기를 맞으며
해발
1천1백72m 높이의 칠절봉 정상에 올랐다. 소나기가 그치자 동행한 정훈장교가 향로봉 일대를 설명했다. 아쉽게도 동굴봉(높이 1천3백30m)에 가려 향로봉(높이 1천2백96m)은 보이지 않았다. 다행히 하산하면서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3-5˚, 남북의 경우 5-7˚다. 그런데 아래쪽과 위쪽의 경사 차이가 심하다. 완만하던 것이
해발
1천2백m에서 정상까지는 경사가 20˚이상으로 급하다. 이것은 한라산을 형성한 화산폭발의 전기와 후기 유형이 다르기 때문이다. 전기에는 용암의 흐름이 빠른 화산이 폭발해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지형이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아자방이렇게 완성된 구들에 대해 불가사의한 전설이 내려온다. 지리산 반야봉의 동남쪽
해발
약 8백m 고지에 자리잡은 칠불사에는 신라 금관가야에서 온 구들도사 담공선사가 만든 ‘아자방’이라는 구들방이 있었다. 고래모양이 아(亞)자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인데, 이 방에 불을 한번 지피면 ... ...
Ⅰ.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한국천문연구원(충남대덕 소재)소속의 보현산 천문대(경북 영천에서북쪽으로 30km 지점,
해발
1,124m)에 있는 1.8m 망원경이다. 1994년에 보현산 천문대가 완성된 이후 현재까지 이 망원경은 다양한 천체의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1999년에는서울대학교 초신성 탐사팀이 이 망원경을 사용해 Abell 2065라는 먼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자리를 잡고 있는 것이다.태양을 감시하는 초병들천문대는 처음부터 끝까지 조용하다.
해발
1천m가 넘는 산꼭대기에 불과 20명도 안 되는 사람들이 살고 있으니 소란스러울 리가 없다. 천문대에 들어설 때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입구의 좌측 건물에 설치된 태양망원경이다. 박영득 박사, 문용재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열었다는 천문대 AAO는 마을에서 약 28km 서쪽에 있었다. 주위 평지보다 약 6백m 솟아오른
해발
1천1백60m에 위치한 사이딩 스프링 산 정상에 있었다. 주변이 국립공원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전망이 훌륭한데, 호주에 있는 수백개의 국립공원 가운데 열 손가락 안에 드는 유명한 공원이라고 한다. 위도가 -3 ... ...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약 12km가 되면 공기층이 너무 얇아져서 압축산소마스크도 더 이상 제기능을 못한다.
해발
고도 약 19km 이상의 높이에서는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우리 몸속의 체액이 액체상태로 있기 위한 압력을 유지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주변의 공기압력이 너무나 낮아 몸속에 있는 체액이 끓어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대기압은 약 93hPa(헥토파스칼, 1기압은 1013.25hPa)씩 떨어져 해수면에서 1기압인 대기압은
해발
5천5백m에서는 절반으로 떨어진다. 당연히 대기 전체에 퍼져있는 산소의 양도 해수면의 절반밖에 안 된다. 때문에 부족한 산소를 받아들이기 위해 숨을 가쁘게 쉰다. 또한 부족한 산소를 가지고 온몸에 ... ...
5. 산꼭대기에 묻힌 노아의 방주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빙하 밑바닥에 배 비슷한 물체가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커어티스 소령이 발견한 곳과
해발
에서 차이가 나지만 크기는 비슷했다(약 1백50m). 이들이 회수한 나무 조각을 검사한 결과 4천-5천년 전 것임이 판명됐다.수많은 목격자들이 증언한 배 형태의 물체가 아라라트산에 있다는 점에는 대부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