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발"(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긴급시에 적절히 사용 청평 양수 발전소과학동아 l1989년 02호
- 청평저수지의 물을 터빈펌프로 끌어 방수로 터널 2천4백75m→수압철관 7백32m를 거쳐 해발 5백4m 위 상부저수지로 올린다.그런뒤 전력수요가 가장 많은 낮시간이나 한강계의 여러 수력발전소등 전력계통에 사고가 났을때 상부저수지에 저장했던 2백60만t이 넘는 물을 방류하면서 발전기를 가동한다. ... ...
- 국내최초로 「용오름」촬영에 성공 울릉도 앞바다의 500m 물기둥과학동아 l1989년 01호
- 시간대별로 용오름현상의 과정을 추적해보자. ●10시40분경울릉도측후소 동쪽에 위치한 해발 3백m의 망향봉 능선위로 용오름이 최초로 관측됐다. 격심한 회오리바람을 동반한 직경 10~20m 크기의 물기둥이 5백여m나 솟아올라 북동쪽으로 천천히 이동하고 있었는데, 용오름의 위치는 울릉도 ... ...
- 코끼리 코가 생존에 가장 중요과학동아 l1989년 01호
- 타이 말레이반도 수마트라 보루네오 등 무척 넓은 지역의 초원에서 살고 있다.버마의 해발 3천미터 이상의 고지대 눈위에서 코끼리의 발자국을 발견한 일도 있다.코끼리들은 대개 모계 중심으로 50~60마리, 때로는 수백마리가 한 떼를 이뤄 광대한 지역을 이동, 유목생활을 한다. 수컷들은 자기들끼리 ... ...
- 안데스과학동아 l1988년 12호
- 세계에서 가장 높은 지대로 알려졌었다. 현재도 옛날에 최고봉으로 꼽혔던 해발 6,310m인 에콰도르의 침보라소(Chimborazo) 산은 지구의 중심에서 재었을 경우 계산상으로는 가장 높다.지금은 익숙하여졌지만 필자(로렌매킨타이어·미국인·르포라이터겸 사진가) 가 처음으로 가족과 함께 안데스 갔을 ... ...
- 서기 2030년까지 사라지거나 거의 파괴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예측했다. 이들은 해수면이 이렇게 높아짐에 따라 태평양과 인도양에 있는 섬들 가운데 해발 2~4m 밖에 안되는 섬들은 거의 파괴되거나 물에 잠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피터 로이' 교수는 비록 완전히 가라앉지는 않더라고 이들 섬은 담수가 바닷물에 섞이는 등 생활조건의 악화와 파도가 밀어 닥칠 ...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과학동아 l1988년 10호
- 0여년동안이나 불변인 비몬의 8.90m 기록은 그 전(前)기록을 무려 55㎝나 경신된 것. 하지만 해발 2천2백m의 고지였기때문에 가능했으리라는 시비도 있다.여자 넓이뛰기의 기록은 2명의 '히로인'을 축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 1928년 5m벽을 무너뜨린 일본의 히로미 기누에와 1939년 6m벽을 넘은 슐츠 ... ...
- 인도ㆍ파키스탄의 북부접경지대 발루치스탄과학동아 l1988년 07호
- 주민들은 빙하가 녹은 물을 이용하여 인공오아시스를 만들어 생활하고 있다. 특히 해발 3천m 내외의 고지대는 기온이 알맞아 주로 밀을 재배하고 있고 과수재배와 목축도 활발하다.이런 지리적 환경속에 있는 발루치스탄지방은 세계 제2차대전이 끝난후 영국통치에서 벗어나 인도에 속했다가 194 ... ...
- 난세이제도 개발 일본의 진주, 그 빛을 잃다과학동아 l1988년 06호
- 지역이다. 최근 많이 없어지고 있는 활엽수는 남아시아 식물군에 속하는 상록수들로서 해발 3백m이하지역에서는 어디서나 볼수 있다. 3백m이상의 고지에서는 일본 본토에서 볼수있는 특히 큐수나 시코쿠에 많이 있는 식물군으로 덮혀 있다. 특히 홍수림(紅樹林·mangrove)은 진흙을 뒤덮고 있어 깨끗한 ... ...
- 대분화를 일으킨 세계의 화산과학동아 l1988년 04호
- 우뚝 솟은 성층화산이다. 토대가되는 안데스산맥에서는 약1천6백m 높이밖에 되지않으나 해발고도는 5천m를 훨씬 넘는다. 약 4백년전인 1595년에 최초의 분화 기록이 있으며 그 뒤에 5회의 분화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초와 1845년의 분화에서는 이번 분화보다 심한 흙탕사태가 발생했다는 기록도 ... ...
- PART II 간척·항만건설·조력발전 등 개발의 명암과학동아 l1988년 04호
- 의하면 우리가 현재 호남평야라고 부르는 지역의 대부분이 간척평야라고 하며, 특히 해발고도 10m 이하의 평야는 간척평야로 보아도 무방하다고 한다.현재 간척공사가 진행중인 지역은 총 1백7개 지구 5백63km²인데 용도별로 보면 농업용지가 84.4%(4백75.4km²), 공업용지 7.1%, 도시용지 0.4%, 기타 8.1%이며,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