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파도바 대학에 유학하여 그해 12월에는 학위를 취득하고 23세의 젊은 나이로 해부
학과
외과교수로 임용되었다 칼슘과 알루미늄이 주가 된 가수(加水) 규산염광물(珪酸鹽鑛物)이다 주상(柱狀) · 추상(錐狀)의 결정을 이루며 세주상(細柱狀) 결정의 방사상 집합체나 입상 집합체를 이루는 경우도 있다 ... ...
PART2 금융상품 탄생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그들이 진짜로 원하는 게 뭔지’ 겸허히 듣기 위해 세일즈에 몸을 던졌다.서울대 수
학과
를 졸업하고 KAIST 금융전문대학원에서 금융공학을 공부한 김 이사의 이력은 세일즈와 잘 어울리지 않는 듯 보이지만 수학 덕분에 금융시장의 유행을 선도할 수 있었다. 확률분석으로 금융상품의 상품성을 ... ...
PART2 양자역
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펄서 발견자, 과학전도사로 거듭나다 PART2 양자역
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 ...
미래 과학자 하나로 묶는 여름 축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인기를 모은 특별강연은 단연 ‘비누거품의 마술’과 ‘뮤직 스퀘어’. 영국 켄트대 물리
학과
시릴 아이젠버그 교수는 강의 내내 비누거품을 직접 만들면서 항상 최소표면적을 유지하는 비누거품의 특성을 설명했다. 강연을들은 이향진 양은 “마치 마술공연을 보는 듯 했다”며 “비누거품의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의도다.KAIST는 미국의 MIT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MIT 기계공
학과
를 졸업하고 같은
학과
의 교수를 지낸 서 총장의 이력과도 무관하지 않다. 공대를 중심축으로 성장한 MIT는 연구 중심 대학이며 교수가 산업현장으로 뛰어들길 마다하지 않는, 창업이 활발한 대학이다. 이는 KAIST도 마찬가지다.현재 KAIST는 ... ...
뜨거운 도시에 부는 푸른 바람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주변 기온을 떨어뜨린다”고 말했다. 여기에 바람도 가세한다. 중앙대 식물응용과
학과
안영희 교수는 “식물 주변의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의 대류도 활발해져 저절로 바람이 불게 된다”며 숲이나 나무 주위가 늘 선선한 까닭을 설명했다.최근 짧은 시간에 수십~수백mm의 비가 쏟아지는 집중호우가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농구코트에서 함께 공을 던지며 한판 승부를 벌이는 교수님은 친구 같아요.” 물리
학과
이성익 교수를 두고 학생들이 하는 말이다. 젊은 학생들에게 체력과 실력에서 전혀 뒤지지 않는다. 이 교수가 이틀에 한 번꼴로 체육관 농구장을 찾아 학생들과 농구 시합을 해 온지 벌써 20년이 넘었다.땀으로 ... ...
'뭔 말인지 알지'가 쓸데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해했다고 말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미국 콜로라도대 심리
학과
월터 킨취 교수는 ‘이해의 구성-통합 모형’ 논문에서 이해는 책 속의 단어나 문장, 개념 같은 요소가 하나씩 순서대로 처리되는 과정이 아니라 동시에 활성화돼 한꺼번에 병렬적으로 처리되는 과정이다 ... ...
피스토리우스의 올림픽 출전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대학에서 동물학을 배우고 나폴리에서 발생학을 연구했다1870~82년 오데사 대학의 동물
학과
비교해부학 교수로 있었고, 83년 메시나에서 극피동물을 연구하는 도중 식세포 작용을 발견하고 이를 발전시켜 면역설을 제창했다기계의 통제부분에 마이크로컴퓨터 등 전자장치를 조합한 새로운 지능 ... ...
3. 스트레스가 약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라고 한다. 미리(pre) 경험시켜(conditioning) 적응력을 키운다는 뜻으로 미국 듀크대 병리
학과
찰스 머리 교수가 처음 아이디어를 제시했다.머리 교수팀은 개를 대상으로 심장의 관상동맥을 5분 동안 막아 혈류를 흘리지 않다가 5분 뒤 다시 흘리는 작업을 4일간 반복했다. 그러자 이후 40분간 혈관이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