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자들의 친구 쥐과학동아 l2008년 01호
- 교수, 영국 카디프대 포유류유전학과 마틴 에번스 교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병리학과 올리버 스미시스 교수는 2007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이들은 특정 유전자를 없애는 방법을 발견했는데, 특정 유전자가 관여하는 질병을 앓는 쥐가 태어나 질병 치료제를 실험할 수 있어 의학발전에 ...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과학동아 l2008년 01호
- 만들고 있다. 생체현상을 모티브로 한다는 점에서 디지털나노구동연구는 생체모방공학과 비슷하지만 관심을 갖는 생체현상의 규모가 마이크로미터(μm, 1μm=${10}^{-6}$m) 이하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개미와 코끼리는 다르다조 단장은 1990년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유학 시절 마이크로미터 규모의 ... ...
- 천기누설 날름도사 '혀'씨의 고민을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2호
- 맛 감별 대회를 앞둔 혀 씨. 맛을 보는 데 세계 최고라는 소리를 자주 듣던 혀 씨는 대회를 앞두고 기고만장해 있었다. 하지만 어젯밤 크나큰 사건이 일어나고 말았으니…. 대회 참가자가 초밥왕 쇼타군, 식객의 천재 요리사 성찬 씨, 절대미각을 가진 식탐정 군, 와인 맛 감별의 천재 시즈쿠 씨라는 ... ...
- 태와사신기 - 사신의 부활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1호
- 한 텔레비전 광고는 ‘세상은 세 가지로 이루어졌다’ 고 말한다. 아침, 점심, 저녁이 그렇고 의, 식, 주가 그렇고 철수, 영이, 바둑이가 그렇단다. 하지만 이걸 고구려 사람들이 봤다면 뭐라 했을까? 봄, 여름, 가을, 겨울이 그렇고 남, 녀, 노, 소가 그렇고 청룡, 백호, 주작, 현무가 그렇듯 세상은 네 ...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0호
- 이렇게 다른 것처럼 착각하는 걸까?시간 심리학을 연구하는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심리학과 존 웨어든 교수에 의하면 시간에 대한 관심이 시간을 길게 혹은 짧게 느끼는 데 영향을 준다고 해. 시간이 흐르는 것을 의식하면 시간이 천천히 흐르는 것 같고, 반대면 빨리 가는 것처럼 느낀다는 거야. 같은 ... ...
- 미국 휘청거리게 한 캘리포니아 산불과학동아 l2007년 12호
- 특정온도에 이르면 변형되기 전 모습으로 되돌아오는 금속을 말한다. 연세대 의류환경학과 김은애 교수는 형상기억합금 용수철로 개량 방화복을 만들었다. 김 교수는 니켈(Li)과 티타늄(Ti)을 섞은 ‘니티놀’ 재질 용수철을 소방복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끼워 넣었다. 평상시에는 보통 옷 두께지만, ...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도달하는 소리의 세기에 근거하면 더 쉽게 방향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캐나다 맥길대 물리학과 가이 무어 교수에 따르면 1000Hz 부근의 소리는 이런 방법으로 어디서 오는지 도무지 알 수 없다. 이와 비슷한 진동수의 잡음, 예를 들어 오른쪽에 있는 TV에서 나오는 ‘광고소리’가 왼쪽 가방에 든 ...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과학동아 l2007년 12호
- 높은 유전자를 찾아낸다. 이 방법을 연관분석(linkage analysis)이라고 하는데, 분자유전학과 생물정보학이 융합된 고난도의 작업이다.일단 김 교수팀은 환자와 가족의 혈액에서 DNA를 추출한 뒤 일정한 간격으로 마커를 표시했다. 마커는 이정표 역할을 하는 유전자로 X염색체에만 수백 개가 존재한다. ... ...
- 잘린 다리 다시 나게 하는 비밀 찾았다과학동아 l2007년 12호
- 신호를 받으면 아체가 분화해 새로운 다리를 만든다.영국 런던대(UCL) 생화학·분자생물학과 제러미 브라케스 교수는 “조직이 재생되는데 신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신경과 재생하는 조직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분자를 찾아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신경말단에서 발현되는 ...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과학동아 l2007년 12호
- 생성됐지.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화학과 앨런 맥더미드 교수와 캘리포니아대 물리학과 앨런 히거 교수는 이소식을 듣고 공동연구를 제안했어. 그리고 10년 뒤 정말 금속 같은 플라스틱을 개발하는데 성공했지. 고분자 박막에 요오드 증기를 입혀 산화시키자 전기전도도가 1000만배나 증가했거든. ... ...
이전2812822832842852862872882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