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불타는 나의 로봇 본능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곧 사람들이 탐낼 만한 디자인의 로봇이 등장할 거란 생각에서다. 그는 KAIST 기계공
학과
오준호 교수가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에 대해 “나라면 아예 곡선 위주의 디자인에서 탈피해 기계적인 느낌을 살려주는 직선으로 디자인했을 것”이라고 당당하게 말했다.올해 MR의 목표는 두 발로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 휴대전화를 귀에 대고 통화를 한지 10여 분. 통화를 끝낸 뒤 얼굴과 귀에서 난 땀 때문에 휴대전화 액정화면이 번들거린다. 뜨거운 전자제품은 휴대전화뿐만이 아니다. 컴퓨터는 온풍기 마냥 열을 뿜어대고 노트북도 오래 사용하면 키보드에서 모락모락 올라오는 열 때문에 손이 땀에 젖는다.전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신체 부위는 단단한 정도에 따라 내놓는 에너지에 미묘한 차이가 난다. KAIST 전자전산
학과
박현욱 교수는 “간경화 부위가 내놓는 에너지는 정상인 간 부위에서 발산하는 에너지 양과 다르다”며 “이 차이를 MRI기계가 감지해 영상으로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MRI는 인체에 해가 없고 영상의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화강암은 강도가 높은 석영이 많이 포함됐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다. 연세대 지구시스템
학과
권상훈 교수는 “다른 돌과 달리 화강암은 망치로 세게 내려쳐도 망치가 튕겨나갈 만큼 단단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돌로 쌓은 성벽은 돌과 돌의 이음새가 딱 들어맞지 않아 마찰력이 작다. 화포공격을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910년 일제는 조선의 국권을 빼앗은 뒤 창덕궁의 이름을 창경원으로 바꾸고 벚꽃나무를 잔뜩 심었다. 조선왕조가 27대 519년만에 멸망하자 비운의 임금 순종은 오락장으로 변한 창덕궁에 머물며 하릴없이 동물원을 오갔다. 일본이 수탈해간 것은 비단 쌀과 광물자원뿐이 아니었다. 이들은 조선을 누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무산소 씨는 성형외과에서 보톡스 주사를 맞았다. 원래 고운 피부를 가졌지만 눈가에 주름살이 하나라도 있으면 못 참는 성격이다. 피부가 탱탱해진 그는 그날 저녁 우아한 모습으로 할인마트에서 겨우내 먹을 김치를 샀다. 손에 김치 냄새가 밸세라 재빨리 냉장고에 김치를 넣었다. 며칠 뒤면 톡 ... ...
당신의 마음에 반창고를 붙여드려요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작동원리를 다루는 생리학도 1학년 때 배운다. 질병을 세포 수준으로 파악하는 병리
학과
각종 감염의 원인균을 다루는 미생물학도 공부한다.2학년 때는 약물 메커니즘을 배우는 약리학, 사망의 원인을 규명하는 법의학 수업을 듣고, 이때부터 종양학, 혈액학, 내분비학 같은 다양한 임상과목을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탄탄한 논리로 무장한 자신의 글에 흡족해할 날이 곧 올 것이다.강호정 서울대 미생물
학과
를 졸업한 뒤 영국 웨일스대에서 습지생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과학자에게 연구능력 못지않게 글쓰기 능력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과학작문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 21세기 들어 리보솜 구조 밝혀져tRNA 구조를 밝힌 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화
학과
로 자리를 옮긴 김 교수는 관심을 RNA에서 단백질로 옮겨 1988년 암을 일으키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하나인 라스(Ras) 단백질의 입체구조를 밝혀 또 한 번 세상을 놀라게 했다. 김 교수는 1994년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있다. ‘생명회로 디자이너’ 등장할까?2003년에 미국 MIT의 생물
학과
와 전기컴퓨터공
학과
연구원들은 ‘합성생물학실험’이라는 수업을 개설했다. 이 수업에서 이들은 각종 유전자 부품을 조립해 새로운 생물 시스템을 만든다는 의미에서 ‘생물벽돌’(BioBricks)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벽돌의 ... ...
이전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