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조향사, 전자코와 한판 승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각각의 후각유전자는 냄새를 맡는데 핵심 역할을 하는 후각수용체를 만든다.충남대 생물
학과
김철희 교수는 “시각이 빛의 삼원색을 느끼는 3개의 수용체만으로 모든 색깔을 구별하는 것과 달리 후각은 냄새분자와 결합하는 수용체가 이론적으로 1000개에 이른다”며 “인간보다 후각이 뛰어난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힘든 특이한 성질을 가진 물질이 많다.산화물전자공학연구단을 이끄는 서울대 물리
학과
노태원 교수는 “금속산화물은 물리학에서 가장 덜 알려진 분야로 해결해야 할 난제도 많다”고 말했다. 연구단은 레이저 광선을 산화물에 쏴산화물 연구의 여러 난제를 해결하고 있다. 한마디로 광선총을 든 ... ...
터치스크린 열풍 속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산업디자인
학과
에 다니는 A씨. 그는 4B연필 대신 터치펜으로 작업한다. 간단한 로고 작업에서부터 복잡한 자동차설계 디자인까지 모두 가능케 한 터치스크린 기술 덕분이다.전자칠판과 태블릿PC최근 터치스크린 열풍이 거세다. ‘뇌 연령’을 측정하는 게임 소프트웨어로 게임기 시장에서 일약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인재로 키우는 대학입니다. 준비된 학생은 도전하세요.”포스텍 학생처장 강인석 화학공
학과
교수 말에 자신감이 배어 나왔다. 포스텍은 개교 이래 학부생을 300명만 뽑고 있다. 일단 합격을 하면 졸업할 때까지 생활과 학업, 진로까지 1:1로 관리하며 책임진다. 물론 적은 수의 상위권 학생에게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지난해 22위로 껑충 뛰어올랐습니다. 전주기 프로그램을 통해 이런 흥미가 이공계 진
학과
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봅니다.Q 최근 주요 대학에서 강연을 하면서 학생들을 만나셨다고 들었습니다. 현장을 자주 찾는 특별한 이유라도 있으신지요.A 지난 4월 19일부터 6월 1일까지 전국 12개 대학에서 ... ...
'ID+IM'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최고명문학교 파슨스디자인스쿨을 다닌 그는 졸업하던 해인 1997년에 미국 전체 디자인
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진대회에서 1등을 차지했다.출품작은 인체를 형상화한 오디오 시스템. 배 교수는 “심장과 갈비뼈, 동맥을 기계장치를 통해 표현했다”며 “특히 광섬유가 음악에 맞춰 각양각색의 ... ...
상어는 몸 전체가 코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사냥을 잘하는 비법이 밝혀졌다.미국 보스턴대 생물
학과
옐 아테마 교수팀은 냄새로 먹잇감을 찾아내는 상어가 코뿐만 아니라 몸 전체를 이용해 냄새를 맡는다고 미국 ‘실험생물학지’ 6월호에 발표했다. 상어의 몸 옆에는 ‘옆줄’이라고 하는 감각기가 있다. 옆줄은 상어가 다른 생물의 존재나 ... ...
매클롱 강과 인간의 공생 전략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보호구역 ‘카오남푸’(Khao Nam Pu). 7~8명으로 이뤄진 탐사그룹마다 마히돌대 환경
학과
교수와 산림경비원이 함께해 친절한 설명으로 탐사를 도왔다.카오남푸는 대나무 천국이다. 태국 강은 대체로 대나무가 많은 편이지만 매클롱 강은 대나무가 섞인 숲이 전체 강 유역의 57%를 차지할 정도로 그 ... ...
우애 깊은 식물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과에 속한 가까운 종끼리는 서로 도우며 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캐나다 해밀턴대 생물
학과
수잔 더들리 박사팀은 서식지를 공유하는 식물이 같은 ‘과’일 경우 서로 돕지만 그렇지 않으면 경쟁한다는 사실을 영국왕립학회가 발행하는 생물학 저널 ‘바이올로지 레터스’ 6월 14일자에 발표했다 ... ...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지난 5월 12일 미국 신경상관학회는 올해의 착시 현상을 선정했다. 미국 버크넬대 심리
학과
아더 사피로 교수는 같은 물체라도 색이 선명할 땐 움직임이 없다가 색이 흐릿해지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장면을 제시해 3위에 올랐다. 그가 발견한 착시자극원리를 이용하면 어두운 숲 속에서 ... ...
이전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