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세상에서 가장 비싼 '반물질'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세상에서 가장 비싼 물질은 뭘까. 보석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다이아몬드라고 말할 테지만 다이아몬드가 비싼 이유는 원석 자체의 값보다는 세공비가 비싸기 때문이다.현재 세상에서 가장 비싼 물질은 ‘반물질’(anti-matter)이다. 1995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수소의 반물질인 ‘반수소’를 ... ...
밤하늘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무더운 여름날 밤. 총총히 박혀 있는 수많은 별들 사이로 마치 비단 천을 펼쳐 놓은 듯 커다란 구름 띠가 하늘을 가로지르며 드리워져 있는 모습을 본적 있는가.느즈막히 어둠이 내린 남쪽 하늘 낮은 곳 궁수자리부터 솟아올라 거문고자리와 독수리자리를 가로질러 백조자리와 카시오페이아자리를 ... ...
INTRO 지상 최대 '입자 쇼' 개막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LHC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 연구진 60여 명 참여최영일 CMS사업단장(성균관대 물리
학과
교수)을 대표로 고려대, 경북대, 서울시립대 등 13개 대학팀에서 60여명의 연구진이 CERN을 오가며 현재 연구를 진행 중이다.최 단장은 “한국 연구팀은 CMS 검출기 조립과 검출기에서 얻을 어마어마한 양의 ... ...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좀 이상한 나라가 있다. 여기 ‘주민’들에게는 사칙연산의 덧셈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가령 1+2=62.7이라는 셈을 한다. ‘몸이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는 말도 이곳에서는 통하질 않는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서로를 원하는 힘은 오히려 더 강해진다. 물리학자들은 이곳을 ‘앨리스의 이상한 ... ...
벌레가 먹는 버섯이라고 식용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여름철 장대비가 내리고 나면 숲속 여기저기에서 수많은 종류의 버섯이 고개를 든다. 어디에 숨었다가 돋아나는지 신비스럽기만 하다. 사실 알고 보면 버섯은 땅속이나 낙엽 속에 균사체로 있다가 비가 내린 뒤 촉촉하게 습기가 있을 때 자실체(버섯)를 만들고, 자손(포자)을 멀리 전파하기 위해 ... ...
'내 생애 최고의 순간'을 위하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멀티미디어 메시징 시스템을 개발하는 정윤필 차장은 학창시절 수학을 좋아한 탓에 수
학과
로 진학했지만 전자기기를 남보다 일찍 사용하는 ‘얼리어답터’의 적성을 좇아 뒤늦게 전자통신공학으로 진로를 변경했다. 이들의 공통점은 자신의 개성과 적성을 버리지 않고 진로를 개척했다는 것.10년 ... ...
2. 내 짝은 초대칭 입자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사람의 얼굴은 좌우대칭이다. 왼쪽 얼굴을 반전시켜 오른쪽 얼굴을 만들거나 오른쪽 얼굴을 반전시켜 왼쪽 얼굴을 만들어 합치면 원래 얼굴과 거의 같은 얼굴이 나온다. 한때 인터넷에서 연예인들의 ‘얼굴 대칭 놀이’가 유행한 적이 있는데, 한가인, 김태희, 송혜교 등 여자연예인들은 어느 쪽을 ... ...
2. '블랙홀 공장'짓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3월 미국 하와이주 수도인 호놀룰루 법원에는 이색 소송이 제기됐다. 물리
학과
법학을 전공한 전직 공무원인 하와이의 월터 와그너와 스스로를 작가이자 시간이론 연구자라고 밝힌 스페인의 루이스 산초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를 상대로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을 당장 중지하라고 요구한 것 ... ...
우주 신비에 다가가는 초대형망원경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대학들이다. TMT 건설사업은 2001년 미국의 국가연구평의회(NRC)에서 ‘새 천년의 천문
학과
천체물리학’이란 보고서를 제출해 시작됐다.유럽이 주도하는 망원경인 EELT는 아직 설치 장소가 미정이고 지름 42m로 추진되고 있다. 처음에는 야심차게 지름 100m 조합거울로 추진됐으나 타당성 연구 결과 230억 ... ...
나노물질이 스스로 만든 황금 공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스스로 조립해 쌀알만 한 공을 만드는 방법이 개발됐다. 미국 라이스대 응용물리
학과
풀릭켈 아자얀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와 금나노선을 붙여 복합나노물질을 만들었다. 탄소나노튜브는 기름과 잘 섞이고 금나노선은 물과 잘 섞이기 때문에 이 물질은 계면활성제 분자처럼 물과 기름의 경계면에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