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짜릿함을 맛본 사람들의 반응은 열광적이었다. 2세대 롤러코스터1900년대에 들어 과
학과
기술이 발달하면서 철을 다루는 방법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쉽게 구부릴 수 있고 원하는 대로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속이 텅 빈 형태의 철도 개발됐다. 그러자 사람들은 이를 이용해 다양한 모양의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모두에 민감했다는 사실. 아기들의 음악 능력에 대한 연구를 해온 캐나다 토론토대 심리
학과
샌드라 트레헙 교수는 “음악의 문화적 맥락은 5~7세가 돼야 습득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규칙을 따른다는 점에서 음악과 언어는 공통점이 있다”고 설명한다. 특정한 패턴의 음악에 노출되지 않을 경우 ... ...
확률과 통계의 함정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A의 ‘조건부 확률’이라 부른다.이우주 >서울대 물리
학과
를 졸업하고, 현재 동대학 통계
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실생활에 연관된 통계 문제에 대해 확률모형을 만들고 최적화를 통한 추론 방법을 연구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 ...
스위스 넘어 세계로 뻗는 취리히공대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ETH를 ‘Poly’라고 부르기도 한다. 개교 당시에는 건축
학과
, 도시공
학과
, 기계공
학과
를 개설했고 1909년 교육과정을 전면 개편한 뒤 1911년 학교명을 개정해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했다. ETH가 가장 자랑하는 분야는 컴퓨터공학으로, 세계 컴퓨터의 역사라고 통하는 IBM의 유럽연구소를 유치할 정도로 ... ...
[생물학]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최근 새롭게 밝혀졌다.프랑스 마르세이유 지중해대 생물
학과
베르나르 라 스콜라 교수팀은 ‘스푸트니크’라는 작은 바이러스가 또 다른 바이러스인 ‘미미바이러스’에 기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네이처’ 8월 7일자에 발표했다.이번에 발견된 스푸트니크는 1만 ... ...
나노막대로 차세대 태양전지 개발 길 연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물리학 저널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같은 곳에도 실리는 이유다. 1993년 포스텍 화학공
학과
에 부임한 김 단장은 지금까지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다양한 나노구조물을 만들어왔다. 지름 15nm의 균일한 나노구멍으로 이뤄진 나노 기공막을 만들어 지름이 30nm인 바이러스 1백만 개 가운데 1개도 ... ...
후광 효과를 뛰어넘은 과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그러나 이에 대한 반발 또한 만만치 않았다. 특히 옳고 그름을 떠나 그의 출신이 수의
학과
라는 점을 들어 의학계에서 반발이 심했다고 한다.물리학계에서도 제로존이란 이론을 주장한 사람이 정식 과학자가 아니라는 점을 들어 과학자들에게 이론 자체가 검증받지도 못한 채 사장된 일도 있었다. ... ...
‘검은 태양’ 아래서 꿈을 꾸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감동을 10% 라도 느낄 수 있다면 말이다. 황인준 천체사진가 일본 근기대(近畿大) 경영
학과
를 졸업하고 미국 링컨대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 현재 천문기자재 회사 아스트로드림테크의 대표를 맡고 있다. 어린 시절 앞마당에 펴놓은 멍석에 누워 바라봤던 별빛에 매료된 뒤 30년 넘게 별을 봐 왔다. 최근 ... ...
산소 같은 학문, 수학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00달러(약 30만 원)를 호가해 기존 기술보다 20~30배 비싸다”고 말했다.이미 미국의 여러 대
학과
석유탐사 업계에서는 파형역산이론을 이용한 석유 탐사에 많은 돈을 쏟아 붓고 있다. 국내에서도 한국석유공사나 SK에너지, 대우인터내셔널, GS칼텍스 등 석유개발 업체가 파형역산 기술을 개발 중이다 ... ...
2000년 조지프 르두 교수의 기억 재강화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그렇다면 기억 재강화 과정에 관여하는 단백질은 무엇일까. 영국 케임브리지대 실험심리
학과
케리 토마스 교수팀은 공포 기억을 회상한 뒤 해마에서 Zif268이란 단백질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렇다면 이 단백질이 기억 재강화에 관여하지 않을까. 연구자들은 Zif268의 mRNA를 파괴하는 분자를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