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시립대 마이크로로봇 연구회 ‘제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Zero to infinite’의 줄임말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한다’는 뜻이다. 1993년 제어계측
학과
소모임으로 시작한 제틴은 1997년 대학 동아리로 확대되며 다양한 로봇을 만들기 시작했다. 회원들은 미로를 빠져나가는 마우스 로봇부터 지름 30cm 크기의 청소로봇, 화재나 테러 같이 위급한 상황에서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벼룩(20cm)보다 약 10cm 더 높이 뛴다는 사실을 규명해 생물학상을 받았다. 옥스퍼드대 심리
학과
찰스 스펜스 교수는 ‘바삭’하고 씹히는 소리가 더 좋은 감자칩이 더 맛있다는 연구 이론을 발표해 영양학상을 수상했다.한편 노벨평화상은 식물에도 존엄성이 있다는 원리를 채택한 스위스 비(非)인류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현재 KAIST 바이오및뇌공
학과
와 기계공
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0년부터 창의적연구진흥사업 디지털나노구동연구단장으로서 생명체의 극미세 구조와 원리를 모사한 N/MEMS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2008년 과학기술포장 서훈을 받았다 ... ...
닭들이 조류독감에 걸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닥터고글~! 닥터고글~!”어디선가 누군가에게 무슨 일이 생긴 듯 닥터고글을 애타게 찾는 목소리가 들려온다. 도대체 무슨 일일까? 의아한 닥터고글이 문을 열어 보려는 순간, 문이 벌컥 열리며 닥터고글의 얼굴을 강타한다.“아코! 아이고, 내 코야~.”문에 부딪힌 코를 부여잡고 주저앉는 닥터고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친필 ‘환경은 사람을 만들고, 사람은 환경을 만든다’.김유수 선임연구원 >서울대 화
학과
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에서 응용화학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9년 일본 이화학연구소 표면화학연구실에 입사한 뒤 현재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도 참고 ... ...
억울한 우울증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있다는 뜻이야.미국 러트거스대 사회행동과
학과
알란 호르비츠 교수와 미국 뉴욕대 사회
학과
제롬 웨이크필드 교수도 ‘슬픔의 상실’(2007년)이란 책에서 이 점을 얼마나 강조했는지 몰라. 의사선생님들이 진단내릴 때 증상만 확인하지 말고 환자에게 어떤 일이 있었는지, 사회적이고 감정적인 ... ...
이제는 보살핌의 본능 일깨울 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싶은 사람의 필독서.비너스의 유혹엘리자베스 하이켄 지음 | 권복규·정진영 옮김 | 문
학과
지성사 | 487쪽 | 2만 원부제 ‘성형수술의 역사’가 말하듯 이 책은 오늘날 많은 사람들의 지속적인 관심사항인 성형수술에 대해 다방면에서 분석한다. 영화 ‘미녀는 괴로워’가 보여주듯 성형수술은 행복을 ... ...
[생물]곰팡이도 물총 쏴서 포자 퍼뜨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가속도로 날아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미국 마이애미대 식물
학과
니콜라스 머니 교수팀은 초당 25만 프레임을 찍을 수 있는 초고속 비디오카메라로 곰팡이가 포자를 퍼뜨리는 장면을 촬영해 분석한 결과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저널 ‘플로스 원’ 9월호에 발표했다 ... ...
[신경과학]듣지 못해도 말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발음을 부정확하게 만드는 움직임을 감지해 스스로 교정한다는 뜻이다.맥길대 언어치료
학과
셰리 바움 학장은 “발성기관의 위치를 조절해 발음을 교정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청력을 잃은 사람도 정확한 발음으로 말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 ...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턱은 바다표범의 어금니로 표현했다.바닷속 유령입선·일반부 | 신상원·상명대 해양생물
학과
흉측하게 생긴 유령이 먹이를 찾아 떠도는 걸까. 해양에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Codonellopsis sp.)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했다. 배율 1200배. 이런 생물이 사람만큼 크다면 정말 오싹하지 않을까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