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어 학습, 빠를수록 좋은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8년 고려대 심리
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언어심리
학과
인지신경과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고려대 부설 지혜과학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외국어 습득은 얼마나 열성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냐에 달려 있으므로 나이가 들어서 배울 수 없다고 포기하지 말라고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중력이론에 따른 양자측정과 관련될지도 모른다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또 미국 MIT 물리
학과
교수인 맥스 테그마크는 인간의 뇌가 양자역학적인 효과가 유지되기에는 결잃음이 너무 크다고 주장한다.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세상은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점이다. 안타깝게도(?) 우리가 사는 ... ...
[생물]곰팡이도 물총 쏴서 포자 퍼뜨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가속도로 날아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미국 마이애미대 식물
학과
니콜라스 머니 교수팀은 초당 25만 프레임을 찍을 수 있는 초고속 비디오카메라로 곰팡이가 포자를 퍼뜨리는 장면을 촬영해 분석한 결과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저널 ‘플로스 원’ 9월호에 발표했다 ... ...
인문학 소양 뛰어난 과학인재 양성의 명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2기 졸업생이자 네오위즈 설립자인 장병규 블루홀 대표, 이학박사 출신인 서울대 국사
학과
문중량 교수 등이 학교를 다녀갔다. 이뿐만 아니라 대구과학고는 독서와 글쓰기 교육으로도 유명하다. 학생들은 ‘10분 책읽기’ ‘삶쓰기 100자’ 운동을 통해 사고력과 표현력을 키운다. 이런 영향으로 2006~ ... ...
통합교과 지식이 핵심 열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점이다. 난이도가 매우 높은 유형이므로 기출문제를 통해 꾸준히 연습해야 한다. 셋째, 수
학과
과학교과서의 기본 개념을 정확히 이해한다. 설령 자신이 예상한 문제가 그대로 나왔더라도 기초지식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답안이 엉성할 수밖에 없다. 넷째, 교과원리 연결형 문제를 눈여겨본다. ... ...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턱은 바다표범의 어금니로 표현했다.바닷속 유령입선·일반부 | 신상원·상명대 해양생물
학과
흉측하게 생긴 유령이 먹이를 찾아 떠도는 걸까. 해양에 서식하는 동물플랑크톤(Codonellopsis sp.)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했다. 배율 1200배. 이런 생물이 사람만큼 크다면 정말 오싹하지 않을까 ... ...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떠오르고 있다. 그야말로 ‘꿩 먹고 알 먹고’인 셈이다.심은보 교수 >서울대 기계설계
학과
를 졸업하고 1994년 KAIST에서 기계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 2008년 일본 교토대 의대에서 생리학으로 의학박사학위도 받았다. 현재 강원대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부에서 심장의 생체역학적 원리를 ... ...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언어 잘 배우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일본의 과학기술이 세계수준에서 떨어지는 건 아니죠.”KAIST 수
학과
한상근 교수 역시 영어교육에 지나치게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는 우리 현실에 우려를 표현했다. 한 교수는 “지금 우리사회는 모든 학생이 영어권 사람들과 시사뉴스와 업무에 관해 토론할 수 있는 수준 즉 ... ...
[신경과학]듣지 못해도 말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발음을 부정확하게 만드는 움직임을 감지해 스스로 교정한다는 뜻이다.맥길대 언어치료
학과
셰리 바움 학장은 “발성기관의 위치를 조절해 발음을 교정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청력을 잃은 사람도 정확한 발음으로 말을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지난해 ‘내 아버지로부터의 꿈’이라는 제목으로 번역서가 나왔더군요.” 이처럼 과
학과
예술, 정치까지 인류가 이뤄놓은 문화 전반에 관심이 많은 김 박사는 누구보다도 알차게 삶을 살아온 게 아닐까.“요즘은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연습하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KBS교향악단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