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참가를 희망하는 조합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 올해 서울지역에 모두 합쳐 벌통 100개를 놓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도봉구 (예정 )서울시 장애인 도시양봉단이 5월부터 도봉구에 양봉을 계획하고 있다.서울시청 (서소문) 옥상서울에서 가장 먼저 도시양봉을 시작한 곳이다. 꿀벌의 활동범위(반경 ... ...
- 수학으로 두는 신의 한 수, 바둑수학동아 l2013년 10호
- 경우 착수 비는 약 1.2%로 작지만, 경우의 수는 무려 2.08×${10}^{170}$나 된다. 이 값은 10의 100제곱을 뜻하는 ‘1구골’보다도 훨씬 더 큰 값으로, 우주에 있는 원자의 개수인 12×${10}^{78}$보다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큰 수다. 이제 본격적으로 바둑을 시작해 보자. 게임 시작 후 약 20~30개의 돌을 두는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분야에서도 많이 응용되고 있지요. 많은 수학자들이 제한된 번사이드 문제를 연구했지만 100여년 간 풀리지 않았어요. 저도 거의 2년간 이 문제와 살다시피 했고, 결국은 해낼 수 있었습니다.”그는 내년에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ICM) 유치 결정에도 큰 힘을 보탰다. 대체 한국과 무슨 인연인 ... ...
- PART 3 진격의 심장, 디젤엔진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구현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려서 디젤은 1897년이 돼서야 실제 디젤엔진을 개발했다.100년이 지난 지금도 디젤엔진은 트럭이나 선박, 중장비 같은 대형 교통기관에 사용된다. 가장 큰 이유는 효율, 즉 연비가 좋기 때문이다. 특히 종일 시동을 켜놓고 일하는 중장비에 알맞다. 엔진의 효율을 결정하는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강도가 높은 방사선을 쬐면 얼마나 위험한지는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 일정량 이하(100밀리시버트) 방사선량의 위험성에 대해선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강 교수는 “미약한 방사선이 인체에 유해한지 아니면 오히려 이로운지 조차도 논란 중”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저선량 방사선을 ...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소화되는 과정에서 얼마나 빠른 속도로 혈당이 올라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포도당을 100으로 했을 때 비교한 수치다. GI지수가 낮은 음식은 혈당이 천천히 올라가기 때문에 오히려 식용억제 및 포만감까지 주어 당뇨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다이어트에도 유리하다.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이 고구마에 ... ...
- 달토끼가 알아본 2020 대한민국 달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주위를 도는 궤도선은 지구로 치면 인공위성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궤도선은 달 표면의 100㎞ 상공을 돌면서 달의 지형을 관측해 착륙선이 착륙할 위치를 선정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를 수집한다. 이 밖에도 우주방사선 관측, 달 자기장 및 중력 측정, 광물 및 주요 원소 탐색 같은 임무를 수행한다 ... ...
-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뒤쪽을 향해 손을 가리키며 펄쩍펄쩍 뛰고 있었다. 그쪽을 바라보자 주사위맨들이 고작 100m 남짓 떨어진 곳에서 뛰어 오고 있었다.“우리에게 남은 건 이제 겨우 20초 남짓! 다들 집중해! ‘?’에 어떤 숫자가 들어갈까?”“아~, 헷갈려!”10개 방의 비밀“문이 열렸어! 어서!”주사위맨들은 불과 20m ... ...
-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있으면 죽을 수도 있는 매우 높은 방사선량이다. 9월 2일 들어서는 H6 구역 저장탱크에서 100mSv 방사선량이 검출됐다.엄청나게 높은 방사선량이 여기저기에서 검출되고 있지만 오염수 저장탱크에 누수 흔적이 없었다. 도쿄전력은 왜 그렇게 높은 방사선량이 갑자기 측정되는지 제대로 설명하지 ... ...
- 스무살 GIST, 칼텍과 손잡고 노벨상 꿈꾼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교수들이 지난 1년간 공동 연구해온 성과를 발표하는 워크숍이 열렸다. 칼텍은 설립 후 100여 년간 31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미국의 명문 공과대학이다. 연구의 최종 결과물은 2년 뒤 GIST와 칼텍이 함께 발표할 계획이다. 칼텍이 대학 차원에서 미국 외의 다른 나라 대학과 공동연구를 한 것은 ... ...
이전2722732742752762772782792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