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시작했고,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한국인 개인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했답니다.5. 2008년에 1000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미국과 중국, 영국 등이 함께 백인, 흑인, 아시아인(황인) 3대 인종 간 유전자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1000명의 게놈을 분석하기 시작했답니다. 서울대학교 연구팀은 아시아인을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로버트 후크가 발명한 2차원적인 신호탑 통신법은 널리 쓰이지는 못했다. 하지만 100년 뒤인 18세기 말에 프랑스에서 새로운 신호탑 통신법이 개발되면서 유럽 전역에 신호탑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새로운 신호탑 통신법을 만든 주인공은 프랑스의 형제 발명가인 클로드 샤프와 이냐스 샤프다. 두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그만큼 뛰어난 실력과 타고난 천재성을 갖추고 있었다.1959년 미국에서는 리만가설 발표 100주년을 기념한 강연이 열렸다. 내쉬는 여기서 자신이 연구 중인 내용을 발표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내쉬는 발표 도중 말을 더듬거리더니, 결국 논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하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이 무슨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있다.1차 세계대전과 맞물려 유럽인구의 절반을 희생시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지난 100년 사이에도 진화를 거듭했다. 지난 2011년 신종플루로 우리나라에서도 사망환자가 발생했고, 해마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전 세계를 괴롭히는 한편,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도 인간사회로 언제쯤 ... ...
- 마찰력은 제로, 속도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대비 높이 비율이다. 보통 0.09~0.12로 맞춘다. 예를 들어, 튜브를 타고 내려오는 길이가 100m라면 타워의 높이는 9~12m다. 이보다 작으면 평균 경사가 너무 완만해 재미가 떨어지고, 너무 크면 급경사 구간이 많아져 위험하다. 최근에는 이용객들이 더 짜릿한 재미를 요구해 슬라이드 중간에 다양한 코스가 ...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분야의 전문가인 마크 마두 교수 등을 중심으로 차세대 의료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100% 영어강의로 글로벌 인재 키운다학생들은 이런 교수진 아래서 글로벌 인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는다. 이를 위해 학부 및 대학원의 모든 강좌는 100% 영어로 진행된다. 국내 대학 중에서는 유일한 사례다. 또한,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1%밖에 줄지 않았다. 그런데 무게는 절반이나 줄다니, 어떤 비밀이 숨겨진 것일까?우선 100파운드 감자의 수분함유율이 99%라면 물이 99파운드, 고체의 감자가 1파운드이다. 수분이 증발해도 1파운드의 고체는 증발하지 않으므로, 고체의 감자는 여전히 1파운드다. 그리고 증발이 일어난 뒤 감자의 ... ...
- Part 3. 생산기지건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핵융합 에너지로 쓸 수 있는 헬륨-3가 풍부하다. 과학자들은 달 표면에만 약 100만t의 헬륨-3가 쌓여있을 것으로 추정해왔다.지구 전체가 1만 년간 쓸 수 있는 양이라고들 한다.마침 지구에서는 핵융합발전 분위기가 솔솔 싹트고 있다. 달에 도착한 건설팀과 과학자들은 로버가 수송해온 헬륨-3에 800℃ ...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군무를 춘다. 엄청나게 커다란 바다거북 한 마리가 산호 틈에 엎드려 있다. 아마도 100살은 넘었을 것이다. 거북은 성체가 되면 거의 천적이 없다, 인간을 제외하고는. 이제 ‘중성부력’을 유지해야 한다. 중성부력은 몸무게와 부력이 평형을 이뤄 뜨지도 가라앉지도 않는 상태다. 부력조절기에서 ... ...
- 고인류학 - 네안데르탈인 악세사리 한번 보세요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전으로, 주인공은 네안데르탈인이 될 수밖에 없다. 더구나 당시 조개는 유적에서 100km나 떨어진 곳에서만 구할 수 있었다. 이는 이 조개가 귀한 대접을 받았다는 뜻으로, 장신구나 상징물로 쓰였을 가능성을 높인다. 이 연구는 ‘플로스원’ 7월 10일자에 실렸다.이미지 출처│REX, NOAA, 플로스원, ...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