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실험실] 수학으로 빛나는 다이아몬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09호
- , 엄청 크다. 엄마, 이것 좀 보세요. 엄마 반지보다 100배는 큰 다이아몬드예요. 반짝반짝 무지개 빛으로 빛나는 모습이 정말 아름다워요.”“진짜네~. 여보, 그래도 난 이 작은 다이아몬드 반지가 가장 좋아요. 당신이 선물해 준 거니까.”“역시, 당신밖에 없어요.”“아빠, 나도 다이아몬드 반지 사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000억은 큰 수다. 우리은하 안에 있는 별의 숫자가 대략 그 정도다. 그런데 인간은 모두 머릿속에 이 큰 수를 품고 있다. 바로 뇌 안에 들어 있는 신경세포의 수다.하지만 뇌에서 더 중요한 것은 신경세포가 아니다. 이들 사이의 연결(시냅스)이다. 대뇌의 가장 바깥 조직인 신피질에 있는 200억 개의 ... ...
- 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보어의 원자모형이 탄생한 지 100년째 되는 해다. 덴마크의 과학자 닐스 보어는 7월 ‘원자들과 분자들의 구 성에 관하여’라 는 논문을시작으로 9월, 11월에 걸쳐 총 3부작의 논문을 학 술지 ‘철 학 회보’에 발표 했다.그 중 9월에 발표한 논문 ‘원자핵이 하나인 계’에는 오늘날 우리가 ‘보어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바로 보어가 머물면서 양자역학의 탄생을 주도했던 도시다. 보어의 원자모형은 100년을 맞은 지금 이미 수명을 다했지만, 보어는 양자역학의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로 우뚝 서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2파트 - 전자, 궤도를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때, 100칸의 열차에서 자급자족할 수 있는 사람 수는 30명 내외라는 결론이 나온다. 100칸 중 75칸은 복층으로 만들어 벼를 재배하고(단층으로 재배하면 150칸이 필요하다!), 다른 칸에서는 상추와 같은 다른 야채를 키우며, 또 다른 칸은 돼지를 키운다. 활동 공간이 넓은 만큼 개인 공간이 모자라는 일도 ... ...
- [life & Tech] 착한야식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굉장합니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기름에 튀긴 후라이드 치킨은 100g당 평균 299kcal를 자랑합니다. 한 마리당 평균 열량은 2126kcal랍니다. 1일 권장 영양섭취 기준이 대략 2000kcal 전후라고 하면 1인 1닭을 하루동안 먹어야 하겠네요.피자치킨과 함께 야식의 양대 산맥은 ... ...
-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가장 유력한 가설은 이렇습니다. 데니소바인은 플라이스토세(약 259만 년 전부터 1만 1000년 전까지를 나타내는 기간)에 아시아 전체에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그러다 아프리카에서 퍼져 나온 현생인류집단과 유전자 교환을 했고(즉 피가 섞였고), 특히 적응에 유리한 데니소바인의 유전자가 현생인류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개의 취향을 고려해 만들었다고 해서 화제가 됐다. 출시 1년이 지난 현재 ‘시청견’ 100만을 돌파했다.그러나 개가 TV를 보면 프레임 수가 적은 옛날 영화를 보듯 계속 끊어져 보인다. 개의 원추세포는 80Hz까지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1초에 80장의 프레임이 바뀌는 걸 구분할 수 있다는 뜻이다. TV ... ...
- 암호문의 끝판왕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원통 막대에 감아 문장을 알아본다.카이사르가 사용한 암호로마의 율리우스 카이사르(BC 100~BC 44)가 사용한 ‘카이사르암호’는 문자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해 다른 문자로 바꾸는 ‘이동암호’였다. 브루투스에게 암살당한 카이사르가 ‘NEVER TRUST BRUTUS(브루투스를 믿지 마라)’를 이동암호로 썼다면 ... ...
- 요리 속에 과학이 쏙, 문화가 쏙쏙! 내 짝의 도시락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우리나라의 된장과 비슷하지만, 만드는 법에 약간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의 된장은 100% 메주로 만드는 반면, 중국장은 메주를 반만 넣고 나머지 반은 삶은 콩을 넣는다. 된장은 한국 사람만 먹는 게 아니라고?한국과 중국 말고도 된장처럼 발효시킨 콩을 먹는 나라는 많다. 네팔에는 키네마가 있고,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