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시작했고,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한국인 개인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했답니다.5. 2008년에 1000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미국과 중국, 영국 등이 함께 백인, 흑인, 아시아인(황인) 3대 인종 간 유전자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1000명의 게놈을 분석하기 시작했답니다. 서울대학교 연구팀은 아시아인을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그만큼 뛰어난 실력과 타고난 천재성을 갖추고 있었다.1959년 미국에서는 리만가설 발표 100주년을 기념한 강연이 열렸다. 내쉬는 여기서 자신이 연구 중인 내용을 발표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내쉬는 발표 도중 말을 더듬거리더니, 결국 논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하기 시작했다. 그는 자신이 무슨 ... ...
- 이영돈 PD의 수학 먹거리 X파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1%밖에 줄지 않았다. 그런데 무게는 절반이나 줄다니, 어떤 비밀이 숨겨진 것일까?우선 100파운드 감자의 수분함유율이 99%라면 물이 99파운드, 고체의 감자가 1파운드이다. 수분이 증발해도 1파운드의 고체는 증발하지 않으므로, 고체의 감자는 여전히 1파운드다. 그리고 증발이 일어난 뒤 감자의 ... ...
- 전기료 폭탄 피하는 에너지 절약 비법 3 + α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조절하는 것. TV 출고 당시 설정은 평균 시청 환경에 맞춰 있는 경우가 많다. 주변 밝기가 100룩스(lx)일 때 젊은층은 160cd/m2, 노인층은 250cd/m2이 적정 TV 밝기이기 때문이다. 보통 TV는 거실조도 150~300lx에 맞춰 200~300cd/m2로 밝기를 설정한다. 이를 절전 모드를 이용해 한 단계 어둡게 설정하는 것은 ...
- 홈스테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들리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그곳은 바닷가에 있는 작은 도시였다. 생긴 지 한 100년 정도밖에 안 되는 작고 아담한 신도시. 원래 아무것도 없던 땅 위에 항구가 생기고 철도가 생겼다. 곡물이나 양모 같은 걸 실어 나르기 위해서였다. 항구 앞에는 작은 마을이 생겼는데, 가로망이 전부 바둑판 ... ...
- Part 3.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묶는 끈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중력이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힘이라고 답을 할 것이다. 왜 그럴까.뉴턴의 중력이론은 약 100년 전쯤 어떤 관찰자가 재더라도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실험 결과가 나오면서부터 힘을 잃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심각하게 받아들여 물리 법칙에 적용한 사람이 바로 아인슈타인이다. 그때 만든 ... ...
- 중세 시신에서 찾은 천 년 ‘세균 족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현대 후손은 게놈이 330만 개의 염기서열로 이뤄져 있는데, 연구팀은 이 염기서열을 게놈 100벌 분량 모은 뒤 차세대 게놈해독기술로 분석했다.보통 게놈 분석 때 사용하는 염기서열은 게놈 20벌 분량이므로, 연구팀의 자료는 훨씬 신뢰도가 높았다. 그 뒤 이렇게 해독한 게놈을 오늘날 지역별로 곳곳에 ... ...
- 508억 년에 1초 느려지는 새 원자시계 개발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방송처럼 시간을 정확히 지켜야 하는 분야에 꼭 필요한 원자시계의 오차가 지금의 100분의 1로 줄게 됐다.앤드루 루들로 미국 국립 표준기술연구소(NIST) 연구팀은 508억 년에 1초 느려지는 새로운 원자시계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원자시계는 원자의 진동수가 일정하다는 성질을 이용한다. 현재 ... ...
- 3D프린터로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리튬철인산염(LFP)을 사용했다.또 초미세 공정을 위해 특수 제작한 30μm(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지름의 노즐을 썼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입체구조를 전해질에 넣어 배터리를 완성했다. 전기를 생산하는 기초 원리는 요즘 쓰는 리튬이온전지와 똑같지만, 크기가 모래알만큼 작아졌다는 것이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연구를 시도해 왔다. 최근까지 알려진 평균 불임률은 99.8%다. 얼핏 꽤 높은 듯 하지만 100만 개 알이 한 양식장에서 자란다고 생각하면 불임에 실패한 숫자가 2000마리로 결코 적지 않다. 최근 캐나다 연구진이 영국 ‘왕립학회보B’에 게재한 논문은 이 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했다. ... ...
이전2772782792802812822832842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