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전지, 레고처럼 만드니 효율이 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흡수하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연구팀은 전지 판 위에 지름 100nm 짜리 알루미늄 원기둥을 100nm 간격으로 세워 붙였다. 크기가 작을 뿐 레고 블록과 모양이 유사하다.사실 빛에 가장 반응을 잘하는 금속은 알루미늄이 아니라 금이나 은이다. 그러나 이 금속들은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 태양광 전지에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수 있지요. 식수를 공급하거나 노폐물을 모으는 것도 우주복의 역할입니다. 바깥은 영하 100℃ ~ 영상 125℃를 오르내리지만 내부는 쾌적하게 유지됩니다. 그렇다면 이 우주복을 입고 얼마나 오래 우주공간을 누빌 수 있을까요? 한 번 우주 유영 때 최대 7시간 정도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그런데 왜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여의치는 않다. 과연 박 소장이 보는 창업 실패의 원인은 무엇일까. “제일 큰 이유는 100% 열정을 쏟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팀원들이 창업 회사에 완벽하게 올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패했습니다. 창업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목숨 걸고 해야 합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잘 모르는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같다”고 말했다. 얼마 전 그는 광주에서 열린 진로박람회에서 중고생, 부모, 공무원 등 1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강의를 했다. 박 대표는 “우주라는 게 매력적이라 많은 사람이 모였던 것 같다”며 “대학과 학과는 진로나 직업 결정에서 생각만큼 결정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쎄트렉아이의 경우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참가하게 됐다. 이 대회는 주기별로 포병을 주특기로 하는 주변 여러 부대의 장병들 100여 명이 모여, 실력을 평가하는 자리다. 주로 각 부대를 대표하는 장병들이 대회에 출전해 실력을 겨루고,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장병들은 상과 포상 휴가를 받는다. 유 본부장은 자신도 출전해보고 싶은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1억~10억V(볼트)이므로 비가 오는 날 바깥에 서서 번개를 맞을 경우 이론상 몸에 최대 100만A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번개에 맞아 죽기 싫다면 프랭클린의 방법은 절대 따라하지 말 것!프랭클린의 가슴도 찌릿하게 울릴 미니 피뢰침준비물 캐릭터 도면, 압전기, 실, 은박 테이프, 검은 도화지(2장), 가위,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증가하고 있다. 1800년대 초, 수천 년에 걸쳐 인구는 10억 명을 돌파했다. 그런데 불과 100년 만인 1920년 인구는 20억 명을 기록했다. 또 50년 뒤인 1970년에는 40억 명을 돌파했다. 2011년에는 70억 명을 넘어섰고, 현재 80억 명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프랑스국립인구연구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5년에는 8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알린다. 꿀벌이 원을 그리며 춤을 추면 벌집에서 100m 안에, 8자를 그리며 춤을 추면 100m 밖에 꿀을 얻을 수 있는 꽃이 있다는 의미다.고릴라가 가슴을 칠 때 어떤 생각을 할까?고릴라가 가슴을 치는 것을 ‘드러밍’이라고 한다. 가슴을 세게 쾅쾅 치면서 적을 적극적으로 경계한다. 쇄골을 가볍게 ... ...
- [매스미디어] 숨 막히는 레이스! 노브레싱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대표선수 셋을 만나 보자.1 어느 각도로 보나 유선형인 돌고래나는 보통 물속에서 시속 60~100km까지 헤엄친단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를 버금가. 굉장하지? 내가 이렇게 빠른 이유는 ‘날렵하게 생겼기 때문’이야. 무슨 뜻이냐고? 우선, 몸이 유선형이지! 그리고 지느러미들도 모두 유선형이란다 ...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플러스 수학자의 기발한 발명품눈의 착각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기구들은 19세기 초부터 100년 동안 많은 발명가들의 손을 거치면서 정교한 장치로 발전했다. 이후 사진 기술과 접목되면서 애니메이션 영화라는 장르를 탄생시켰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수학자들이 두각을 나타냈다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