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사각지대에 있어요.”기면증은 드문 질환이 아니다. 미국의 역학 조사에 따르면 인구 100만 명 가운데 기면증 환자는 500명이며 매년 환자 14명이 추가로 생기고 있다. 2000명 가운데 1명이 기면증 환자인 셈이다. 이를 우리나라에 단순 적용하면 현재 환자는 2만 5000명이고, 매년 750명의 새로운 환자가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오른쪽과 같은 그림 하나면 홀수의 합을 구하는 공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그림은 100년 경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니코마쿠스의 그림으로, 초록색 돌과 파란색 돌을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한 간단한 그림이다. 이 그림에는 어떠한 수식도 없지만 흰 돌과 검은 돌이 각각 1, 3, 5, …(2n-1)로 홀수를 ...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어민들이 설치한 그물에 붙잡혔어요. 우리나라에서 남방큰돌고래는 제주 앞바다에만 100여 마리가 남아 있는 멸종위기종이에요. 물에 걸린 돌고래는 바로 풀어서 돌려보내야 하는데, 몰지각한 사람들이 법을 어기고 붙잡아 수족관에 가뒀어요.좁은 수족관에 갇히다2009년부터 제돌이는 동물원에서, ... ...
- 필리핀 슈퍼태풍, 한반도에도 온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우리나라 주변의 해수면 온도는 지난 30년 동안 1℃ 상승했다. 지구의 해수면 온도가 100년 동안 0.3~ 0.6℃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해수온도가 1℃ 상승하면 해당지역의 해양에너지는 1.2×1020J 만큼 상승한다. 이는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약 10만 배에 해당한다. 다행히도 이 중 ...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2만km떨어진 인공위성은 지구 중력의 영향이 덜 미치기 때문에 지구 표면보다 하루에 100만 분의 45.7초씩 시간이 빨리 간다.김성원 이화여대 과학교육과 교수는 “영화에서처럼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시간팽창이 일어나려면 태양 정도 중력으로도 모자란다”며 “중성자별이나 블랙홀 ... ...
- 세포는 금 주사기로 DNA 맞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자주 망가지는 문제가 있었어요.연구팀은 가늘게 잘 늘어나는 금의 성질을 이용해 100㎚(나노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금 주사기를 만들었어요. 이 주사기로 녹색 형광 단백질을 만드는 DNA를 세포에 주사하자 아래 사진처럼 세포에서 녹색 형광 빛이 나왔답니다. 세포가 망가지지 않고 DNA가 정확하게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증발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블랙홀이 모두 증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10100년. 그 뒤에 우주에 남는 것이라고는 드문드문 보이는 광자와 중성미자, 전자뿐이다.이쯤 되면 우주의 종말이라고 볼 수 있을까. 우주에 있는 물질의 밀도는 거의 0에 가까워진다. 광자나 중성미자가 우주를 ...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배우의 성대나 악기에서 소리가 끝난 뒤, 중간 음(500Hz)의 소리에너지가 100만 분의 1로 줄어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뜻하지요. 잔향시간은 공연장이 클수록, 그리고 무대와 천장, 벽면, 바닥이 음을 잘 반사할수록 길어집니다.공연장 종류마다 알맞은 잔향시간이 다릅니다. 오케스트라 공연장은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258만~1만 년 전까지)와 비교할 때, 최근 5000년 동안 인류는 그 이전 인류에 비해 100배나 빨리 진화했습니다.여기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다양합니다. 먼저 인구 증가를 들 수 있습니다. 1만 년 전 농경이 발달하며 인구가 늘어나자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늘고, 돌연변이에 따른 인류의 다양성도 ... ...
- ‘이’는 알고 있다, 과거 당신이 무엇을 했는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진화를 추적한 결과 몸니는 크게 세 분류군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약 200만 년 전과 70만~100만 년 전에 각각 새로운 분류군이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때가 각각 호모 에렉투스와 네안데르탈인이 등장한 시기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새 친척인류가 등장할 때마다 그에 기생하는 이도 함께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