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육류
물고기
살
식육
육질
생선
d라이브러리
"
고기
"(으)로 총 1,027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괴물쥐’ 뉴트리아가 웅담 왕?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것도 이런 목적이었죠. 맛칼럼니스트 황교익 씨는 1월 30일 자신의 SNS에 “(뉴트리아는)
고기
가 맛있다. 거의 모든 부위에 지방이 가늘고 촘촘하게 박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뉴트리아가 기생충 덩어리?최근 환경부에서는 뉴트리아가 살모넬라균과 같은 다양한 인수공통 병원체를 보유할 수 있기 ... ...
[특별 인터뷰] 지사탐의 꼬마 파브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키우며 관심도 커졌어요. 앞으로 민물
고기
인공수정에도 도전해 보려고요.”민물
고기
뿐만 아니라 수원 청개구리, 제비까지…. 준서는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통해 생물에 대한 관심과 탐사를 더욱 넓힐 수 있었어요.“생물을 좋아하면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탐구하게 돼요. 궁금증을 ... ...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좋은 사냥감이었거든요. 거대한 몸집 덕분에 한 마리만 사냥해도 약 25명이 한 달 동안
고기
를 먹을 수 있는데다, 몸의 다른 부분들도 버릴 곳이 없었어요. 털매머드의 가죽은 옷감으로, 뼈와 상아는 연료나 집 재료로 쓰였으니까요.실제로 털매머드 화석들 중에는 사람이 절벽으로 몬 뒤 굴러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박사는 “유전적 다양성 확보를 위해 자연산 명태 어미
고기
를 지속적으로 확보해야 하고, 1세대 어미를 관리해 질 좋은 수정란을 얻는 기술을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우량종자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올립니다. 사람이 먹는 걸 강아지에게 다 줄 수 없어서 높은 식탁에서 밥을 먹는데요.
고기
를 먹을 때면 꼭 식탁 앞에 와서 볼일을 보는 겁니다. 대체로 큰 거를 말예요. 한 번은 제가 정말 화가 나서 팔아 버린다고 호되게 야단을 쳤더니 얘가 이틀 동안 아무것도 안 먹는 단식투쟁까지 불사하지 ... ...
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70℃에서 30분, 75℃에서 5분 이상 끓이면 바이러스는 죽는답니다. 따라서 충분히 익힌 닭
고기
나 달걀은 먹어도 안전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진실 혹은 오해?! 알고 나면 깜닭!Part 1. 닭은 억울하닭?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0명의 소아암 환자를 진단했고 2명의 어린이가 완치 판정을 받았다.신 부총장은 “스스로
고기
를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려 해도 의지가 부족한 경우도 많다”며 “설계 단계에서부터 국가별 문화와 국민의 의식을 고려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정기 강좌에서 생생한 생태 이야기를 들려 드립니다.특별 탐사 프로그램민물
고기
탐사를 정기 특별 탐사 프로그램으로 운영해요. 이 밖에도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
[사이언스 010] 맛의 과학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비율이 낮아 글루탐산도 적지만, 10% 이상이 감칠맛을 느낄 수 있는 유리글루탐산이다.
고기
단백질 함량이 많아 글루탐산도 많다. 그러나 유리글루탐산은 1%에 불과하다. 그래서 숙성과정을 통해 유리글루탐산양을 극대화시키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사탕수수(발효 조미료)사탕수수를 발효해 ... ...
[가상 인터뷰] 오염된 하천에서도 잘 사는 물
고기
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개체마다 다양한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해요.즉, 같은 대서양킬리피시라도 물
고기
마다 위험을 느끼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천차만별인 거지요. 따라서 대서양킬리피시는 적응할 수 있는 오염 수준의 범위가 다른 동물보다 넓답니다.이 유전자는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과 관련이있어요.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