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두 발 로봇 '캐시', 전동 슈즈를 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오랜 시간 연습해야 해요. 호버 슈즈는 몸을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 앞으로 나가거나 뒤로 움직이는데, 처음에는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 넘어지기 일쑤거든요. 연구팀은 캐시가 호버 슈즈 위에서도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도록 속도와 기울임을 감지하는 센서 여러 개를 부착했답니다.한편 연구팀은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걸쭉하기 때문에 물을 섞어 묽힌 뒤 실험을 진행했답니다. 치약에 물과 색소를 넣은 뒤 기계를 통해 30분 정도 잘 섞어 주고, 이를 거름막에 거르자 다양한 크기의 알갱이들이 걸러졌지요. 이 중 미세플라스틱이 정말 있을까요? 현미경을 통해 바라본 치약 속 세상은? “현미경에 보이는 알갱이들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침입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받은 혈액은 다시 심장을 거쳐 폐로 가요. 폐에서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교환한 뒤 다시 심장으로 가 전 과정을 반복하지요. 이처럼 심장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 심장 재생은 좀비에게 맡겨라!세포 중에도 좀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리 몸을 ... ...
- 기생충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기생충인 연가시의 개체수 회복 속도를 추정했답니다. 곱등이와 연가시를 채취한 뒤 DNA분석으로 구체적인 종을 알아내고, 이 종이 언제부터 숲에 살았는지를 조사하면 당시 개체수를 추정할 수 있지요. 그 결과, 곱등이는 최대로 회복되는 데 30년이 걸린 반면, 연가시는 50년 이상이 걸렸답니다 ... ...
- 기생충을 사랑한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살아있는 기생충 애벌레 5마리를 찾아냈다. 그리고 애벌레를 몸속에서 성충으로 키운 뒤 민촌충과의 차이점을 관찰하기 위해 이를 직접 삼켰다. 75일 뒤, 엄기선 교수의 몸에선 3m에 달하는 기생충 2마리가 나왔고, 엄 교수는 여기에 ‘아시아조충’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눈에서 기생충이 꿈틀꿈틀 ( ...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수였지요. 그중에서는 식물이 612종으로 가장 많았고, 곤충이 427종, 그리고 조류 55종 등이 뒤를 이었답니다. 특히 참가자들은 전세계에서 광릉숲에서만 서식하는 사슴벌레붙이와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인 작은관코박쥐 등 좀처럼 보기 어려운 종들을 볼 수 있었어요. 또 천연기념물이면서 깨끗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세운 뒤 한 명씩 고무줄 총을 쐈어요. 모두 힘을 합쳐 과녁을 쏘기도 했지요. 과녁이 뒤로 넘어갈 때는 스마트 기기에서 총소리가 들렸어요. 제대로 코딩을 했다는 뜻이지요.수업에 참여한 이도훈 기자는 “평소에 만들기와 코딩을 좋아하고, 스크래치를 이용해 자동차 게임을 만들어 본 적도 ... ...
- [실전!반려동물] 반려새의 건강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음식물이 계속 새어나오는 것을 지켜봐야 하지만, 죽은 조직의 경계를 정확히 안 뒤 수술해야 회복이 잘 돼요. 이 기간에는 항생제와 진통제를 계속 투여하고 먹이를 조금씩 여러 번 나눠서 줘야 하지요. 소낭은 상당한 부분을 절제하더라도 곧 늘어나요. 수술 직후에는 줄어든 소낭의 크기에 맞춰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A 은하의 중심에 위치한 블랙홀의 윤곽을 확인한 것입니다. 블랙홀의 그림자는 블랙홀 뒤에서 온 빛이나 주변에서 발생한 빛이 블랙홀의 강한 중력에 의해 휘어 둥글게 감기면서, 지름 약 1000억km의 약간 기울어진 고리 모양의 구조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실제로 이번에 확인된 블랙홀은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UST에 입학해 윤 교수의 지도로 올해 2월 석·박사통합과정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원으로 채용됐다. 윤 교수는 “얼굴에서는 홍채를 이용한 생체인증 기술이 발달했는데, 미세혈관에 의한 피부 변화로 심박수를 알 수도 있다”며 “얼굴의 이런 특성을 활용하면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