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기자단] 2019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알려주었지요.마지막으로 사람이 서 있는 모형과 누워있는 모형을 자동차에 태운 뒤 커브를 도는 실험을 했어요. 서 있는 사람 모형은 커브를 돌 때 옆으로 넘어졌지만 누워있는 모형은 넘어지지 않고 목적지에 도착했지요. 유유미 선생님은 “서 있는 모형보다 누워있는 모형이 무게중심이 낮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일어날 때 나는 냄새일 거라 생각했답니다. 냄새의 정체가 밝혀진 건 그로부터 54년 뒤인 1839년이에요. 독일의 화학자인 크리스티안 쇤바인도 전기로 불꽃을 일으킬 때 이상한 냄새가 난다는 것을 포착했는데, 이때의 기체를 포집해 분석한 거예요. 그 결과 냄새의 원인 물질이 특정한 기체라는 것을 ... ...
-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단백질을 넣었어요. 한편, 쥐의 뇌에는 빛을 쏘는 무선장치를 연결했지요. 그런 뒤, 쥐가 정해진 장소로 이동하면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무선으로 쥐의 뇌에 빛을 쏘았어요. 그럼 빛과 반응한 채널로돕신 단백질이 뇌 보상회로의 신경세포를 활성시켜 ‘도파민’이 만들어지도록 했지요. 도파민은 ...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기술을 더 개발하면 약물을 환자의 인공 뇌에 직접 테스트한 뒤, 효과가 있는 약물을 환자의 맞춤 치료제로 투여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지요. 미숙아 수준의 미니 뇌, 생각할 수 있을까?지난 8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앨리슨 무오트리 교수팀은 실험실에서 만든 뇌 ... ...
- [노벨생리의학상] 산소가 부족할 때 몸속에선 어떤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HIF-α 단백질을 발견했어요. 우선 서멘자 교수는 사람의 간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한 뒤, 세포에서 EPO 유전자만 분리시켰어요. 그리고 이 유전자를 쥐 세포의 핵에 넣었지요. 이때 한 그룹엔 충분한 산소를, 다른 그룹엔 1~2%의 산소를 공급했어요. 그 결과 적은 양의 산소를 공급한 그룹에서만 EPO ... ...
- [과학뉴스] 사지마비 환자가 우뚝 일어선 비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전선 때문에 감염 위험에 노출된다는 거였어요. 뿐만 아니라 수개월이 흐르면 전극판을 뒤덮는 세포가 흉터 조직을 만들어 전극판이 멈추곤 했지요.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나비드 교수팀은 전선이 없는 무선 전극판을 사용하기로 했어요. 또 전극판을 뇌의 바깥쪽에 부착해 감염 위험을 ... ...
- [현장취재] 15주년 팬파티, 오늘은 우리가 주인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갑작스레 ‘어메이징 어과동’으로 떨어진 지우를 그려 만화를 시작했는데, 뒤이어 그린 모둠들이 마이보가 지우를 잡아먹고, 다시 토미가 마이보를 잡아먹고, 토미는 일리에게 잡아먹히는 먹이사슬을 완성했다”고 설명하셨지요. 한편 박동현 작가님은 지구 유일의 생존자(?)가 된 마이보마저 ...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생태원에서 연구자의 비밀노트를 작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생기있는 모습도 보고, 최대 250살까지 산다는 장수 동물 알다브라육지거북 등을 관찰한 뒤 숙소로 돌아왔어요. 이른 아침, 물새 서식지를 탐험하다!“저~기, 고개를 젓고 있는 새 보이죠?”새벽 6시, 대원들은 국립생태원에서 조류를 연구하시는 강종현 박사님과 송림 갯벌을 다시 찾았어요. ... ...
- [노벨물리학상] 우주의 진화와 구조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미세하게 달랐지요. 이 차이가 우주배경복사에 담겨져 있는 거예요. 그로부터 20년 뒤 실제로 우주배경복사에 최대 10만분의 1K 만큼의 온도 차가 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이뿐만 아니라 피블스 교수는 우주 초기의 밀도 차이로 은하의 분포를 알아내는 이론도 세웠어요. 우주 초기 물질의 ... ...
- [만화뉴스] 지느러미로 싹쓸이? 혹등고래의 똑똑한 사냥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그물’이라는 사냥법으로 유명해요. 먹이 주위를 빙빙 돌며 날숨으로 거품을 만든 뒤, 거품벽에 물고기 떼를 가두지요. 그 후 입을 벌린 채 빠른 속도로 솟아 물고기를 떼로 잡아먹어요. 교수팀은 사냥에서 가슴지느러미가 사용된다는 점을 밝혔어요. 혹등고래가 솟아오를 때 가슴지느러미 하나로 ... ...
이전2322332342352362372382392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