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진공인데 열에너지가 전달되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200nm 거리에 배치했다. 그리고 막 하나를 가열해 온도가 25도가량 차이나게 만든 뒤, 둘 사이의 거리를 조금씩 좁혔다. 그리고 온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두 막은 완벽히 붙지 않았음에도 차츰 온도가 같아졌다. 진공 상태에서 열전도가 발생한 것이다. 연구팀은 두 막 사이의 전자기장 등 물리량을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QR코드 참조). 동영상에서는 패널 바로 뒤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들이 보이지 않고, 그 뒤의 배경이 보인다. 하이퍼스텔스는 최근 이 기술에 대해 국제특허를 신청했다. 가까이에서 보면 다소 어색해 티가 나는 만큼 아직은 완벽한 투명망토라고 할 수는 없지만 머지않아 등장할 것이다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가장 근접해 있다고 생각해요. ‘알프레드(ALPHRED)’와 같은 로봇을 보면 다리가 앞뒤로 달려있다거나 하는 식으로 언뜻 기괴해 보이지만 굉장히 효율적으로 움직이거든요. 2040년 미래의 로봇은 어떤 모습일까요?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대신 할 각양각색의 기계들이 만들어질 거예요. 그보다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여고와 여대를 다닌 덕분에 학창시절에는 자신이 소수라고 느낀 적이 없었지만, 입사한 뒤에는 확연히 느낄 수 있었다. 한 부서에 50~100명의 연구원 중 여성 연구원은 거의 항상 그 혼자였기 때문이다. 여성이 많지 않다 보니 여성을 위한 제도나 문화 역시 크게 고려되지 않았다. 김 수석연구원은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자동차의 엔진에 달린 마이크와 자동차 내부에 있는 마이크를 통해 소음을 분석한 뒤 역파동을 만들어 소음을 상쇄한다.김 교수는 “국내에서는 소음이 심한 환경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등에서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적용한 사례가 있다”며 “다양한 산업에 노이즈 캔슬링을 적용하면 소음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단을 김해국제공항까지 이송하는 데 꼬박 10시간이 걸렸다.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한 뒤에는 대한항공 테크센터 보호구역으로 옮겨 세관검사와 1차 성능검사를 했다. 그리고 이튿날 자정 특수 무진동 대형 트레일러에 나로호 1단을 실었다. 다시 육로 이송이었다. 운송과정 도중 브레이크를 거의 밟지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새로운 기술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재미에 푹 빠져 있기 때문이다.지금부터 5년 뒤 나는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구글에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구글과 함께 계속 성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구글을 나와 스타트업을 세울지도 모른다. 헬스케어 산업을 공부하기 위해 의학전문대학원에 ... ...
- [일본유학일기] 오타쿠의 성지로 유학 간 성공한 덕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그 순간 당시 담임 선생님이자 입시 담당 선생님이었던 김문섭 선생님이 갑자기 내 뒤에 나타났다. 자습 중 딴짓과 개인적인 취미가 현장에서 딱 걸린 것이다. 솔직히 나는 고등학교 입학 이후 자습실에 게임기를 가져와 게임을 하거나 일본 만화책과 소설책을 읽으며 딴짓을 꽤 많이 했고, 이런 ... ...
- 엑소가 알고 보니 이세돌이었다고? 그래프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용량이 줄 때 혼자 이용량이 늘자 자연스럽게 순위가 높아졌고, 한번 순위권에 진입한 뒤에는 TOP100 차트를 듣는 고객층 때문에 순위가 쉽게 유지됐다. 이런 특수한 그래프의 양상이 한 번이 아니라 새벽 시간대마다 지속적으로 나타나자 대중들은 실시간 그래프를 캡처해 공유하며 사재기 의혹을 ...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정도지요. 책상에 놓인 책 하나를 잡을 때도 책의 질감, 강도, 위치, 주변 환경을 인식한 뒤 수많은 책 잡기 전략을 일일이 계산해야 하는데 로봇이 해내기엔 그 양이 너무 많아요. 큰 고민 없이 좋은 전략을 찾는 사람과 대조적이죠. Q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한가요? 20~30년 전과 비교해 ... ...
이전228229230231232233234235236 다음